전·현직 검사들의 잇따른 총선 출마로 검찰 공화국이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상민 대전고검 검사(45·사법연수원 35기)는 현직 검사 신분으로 9일 출마 선언했다. 김 검사는 고향인 경남 창원시 의창구 국민의힘 소속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김 검사는 서울중앙지검 형사9부장 재직 중이던 지난해 9월 추석을 앞두고 창원 주민들에게 “저는 뼛속까지 창원 사람이다. 창원을 사랑하고 창원 사람을 좋아한다. 창원은 이제 지방이 아니라 또 하나의 큰 중심이 되어야 한다” 등의 문자를 보내 그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됐다. 김 검사는 내부에 ‘정치적 의미가 없는 안부 문자’라는 취지로 해명했지만, 대검찰청 감찰위원회가 지난달 28일 검사장 경고 조치하자 그날 오후 법무부에 사직서를 내고 출마 의사를 밝혔다.
 
김 검사는 이날 회견에서 “저는 돌아갈 수 있는 배를 태웠다. 여러분이 함께 해주시지 않으면 저는 돌아갈 곳이 없다”고 운을 뗐다. ‘문자 논란’에 대해서는 “명절 때마다 보내는 의례적인 문자였다. (앞으로도) 설·추석 명절 때마다 응원해주시는 분들께 감사하다는 문자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모습에 한 고위 검찰 간부는 “김 검사는 이미 검찰 후배들 민심을 잃었다. 변호사는 어렵고 출마밖에 길이 없다”고 했다. 김 검사의 총선 출마에 격분했던 이원석 검찰총장은 최근 “김상민은 김상민의 길을, 우린 우리의 길을 가자”며 내부를 단속하고 있다고 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희대 법대 후배로 ‘검찰 황태자’로도 불렸던 이성윤 전 서울중앙지검장(62·23기)과 ‘추미애 사단’으로 분류됐던 신성식 전 대검 반부패강력부장(59·27기)도 출마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두 사람은 모두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현직 검사장(대검검사) 신분이다. 이성윤 검사장은 공직자 사퇴 시한 사흘 앞인 지난 8일 페이스북에 ‘사직서를 제출하였습니다’란 사실상 출사표를 올렸다. 이 글에서 “정치의 본질은 민생을 돌보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정자정야(政者正也)”라며 “윤석열 사이비 정권을 끝장내고, 윤석열 사단을 청산하는 최선봉에 설 것”이라고 적었다.
국가공무원법은 비위 관련 형사사건으로 기소 또는 내부 감사를 받는 공무원의 퇴직을 금하고 있다. 법무부는 이 검사장이 ‘김학의 긴급출금 사건’으로, 신 검사장이 ‘한동훈 녹취록 오보 사건’으로 각각 재판을 받고 있어 사의에 제동이 걸렸다. 검찰이 지켜야 할 최우선 가치는 정치적 중립이다. 이를 훼손하거나 의심받게 하는 행위는 용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