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보험 손해율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암 관련 보장을 유지키 위해서는 이 상품에 대한 제도적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손해율 악화를 방치할 경우 보험사들이 암보험 판매를 중단하는 사례가 더 늘어나 결국 암보험이 사라질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것. 실제 8월말 현재 암보험을 판매하는 생명보험사는 전체 22개 생보사 중 신한·우리아비바·라이나·AIA· kdb생명 등 5곳에 불과하다. 지난 2003년까지만 해도 16개 보험사가 암보험을 판매했던 것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할 정도다. 15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보험사들의 암보험 손해율은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조기진단 비율과 생존율 상승 등으로 악화되고 있다. 암담보 손해율은 2006년 106.6%에서 2008년 119.5%로 늘었다. 특히, 암 수술관련 손해율은 2006년 138.7%에서 2008년 169.7%로 급증했다. 암보험 등 장기보험은 손해율 100% 초과 시 '팔면 팔수록' 보험사에게는 오히려 수익이 악화되는 구조다. 암보험 손해율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던 예전과는 달리 요즘에는 의료기술 발달로 조기진단 비율과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입원비 등을 보장하는 보험사들의 손해액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보험회사들은 암전용 상품 판매를 중단하거나 상해보험 등에 특약형태로 암 위험을 보장하고 있어 암보험 가입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제한되고 있다. 보험개발원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키 위해 암 치료비 규모에 따라 보험가입금액을 차등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험가입금액을 고액암, 일반암, 소액암 등 3~4단계로 차별화하고 보장내용을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암 담보별 부담보기간 설정에 대한 검토 ▲ 보험사고정보시스템(ICPS)을 활용한 역선택 차단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