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에서 7선에 도전장을 내민 김무성 전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화해할 의향이 있다는 뜻을 전했으나 실현 가능성은 아무도 모른다. 탄핵 당시 새누리당(국민의당 전신) 대표였던 김무성 전 의원은 올해 22대 총선에서 부산 중·영도구에 출마 뜻을 밝혔다.
 
김 전 대표는 1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 집중’ 인터뷰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화해하고 싶다. 그런데 섣불리 그런 제안을 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통령과 탄핵 이후 한 번이라도 대화나 메시지가 오갔냐’는 물음에 “최순실 사태가 났을 때 저희 같은 사람을 만나 대화했다면 그런 지경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며 “요구를 했음에도 여당의 당 대표가 됐는데 (박 전 대통령과) 독대라는 걸 한번도 못했다”고 했다. 그는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전날 발표한 공천룰에 대해 “상당히 잘 만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안심이 된다는 건 공천룰에 해당 사항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거냐’는 물음에 “그건 계산을 안 해 봤다”며 “우선 국민의 뜻을 많이 반영하겠다. 제가 그걸 주장 했었다”고 했다. 그는 2016년 20대 총선 친박과 ‘옥새 파동’ 등 공천갈등을 겪은 것에 대해 “정말 저는 옥새가 아니고 ‘당인’인데 지금까지 제가 구경한 일도 없다”며 “친박들이 뒤에서 그런 장난을 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유상범 의원이 ‘탈당해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했던 분 아닌가’라고 비판한 데 대해 “탄핵은 헌법재판소에 가서 만장일치로 통과 되지 않았느냐”며 “지금 와서 거기에 대해 비판한다는 것은 잘못된 이야기”라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는 “총선이 다가오자 또다시 전략공천의 망령이 살아나고 있었다”며 “저는 오랜 정치 생활을 하면서 공천을 잘못해서 이길 수 있었던 선거를 지고 당은 분열되고 정권을 뺏기는 쓰라린 역사를 목격한 현장에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선 의원을 한 사람으로서 선거를 앞두고 당이 분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민주적 상향식 공천으로 선거에 이기자는 목적으로 주의를 환기하려고 시작을 했다”고 말했다. 잘못을 인정하는 정치인은 양심 있는 정치인이다. 출마의 변을 당이 분열을 막기 위해서라고 했다. 탄핵 때 당의 분열을 주도한 분으로 비참한 분열의 종말을 지켜본 정치인이기에 이해가 간다.
  그런데 당은 이미 이준석 전 대표의 개혁신당 창당으로 분열이 시작됐다. 일각에서는 7선 도전에 앞서 탄핵으로 억울하게 옥살이까지 하게 된 박근혜 전 대통령을 찾아 용서를 구하고 화해부터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이구동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