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총선 국회의원 공천이 마무리 단계다. 공천과정에 잡음은 여야가 닮은꼴이지만 결과는 다르다. 더불어민주당은 ‘비명횡사’란 용어가 나돌 정도로 물갈이가 충격적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현역들이 대거 공천장을 받으면서 대조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마지막까지 비명계(비이재명)가 줄줄이 공천에 탈락했다. 그야말로 ‘비명횡사’라는 말이 실감 난다. 그저께는 윤영찬 의원·노영민 전 의원 등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이나 박광온·김한정 의원 등 이낙연 전 대표와 가까운 친문·비명 7명을 비롯해 9명의 현역 의원이 고배를 마셨다. 현재까지 공천된 민주당 후보 중 비명계 의원은 10명 정도에 불과하고 대부분 이재명 대표와 가까운 친명들이라는 분석이다. 이 대표를 추종하는 ‘개딸’ 당원들의 바람몰이와 불투명한 여론조사로 논란이 거셌던 경선 끝에 나온 결과여서 ‘공천 아닌 사천’ ‘공당 아닌 이재명 사당’이란 비판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국민의힘도 현역 주류의 압도란 점에서 민주당과 닮은꼴이다. 4·10 총선에 출사표를 던진 현역 의원 96명 중 66명이 공천돼 재공천율이 70%에 육박했다. ‘용산 거수기’ 행태를 보여온 친윤 초선 30여 명도 대부분 공천됐다. 또 지난달 29일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쌍특검법’ 재표결이 부결된 뒤엔 강남병·달서갑 등 텃밭에서 현역 탈락이 잇따라 “반란표를 걱정할 상황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비주류 현역을 쳐낸 것 아니냐”는 논란을 자초했다. 일부지역은 논란을 피해 국민추천제를 도입해 공천자를 확정지을 계획이다.
  비례대표 자리를 제외한 지역구 254개 중 국민의힘은 213곳, 민주당은 197곳의 후보를 확정해 공천 정국이 종반에 접어들었다. 여야 모두 주류 입맛대로 공천이 진행된 결과 참신한 신인과 여성, 장애인의 발탁은 미미해 역대 최저 수준이다. 여성 후보는 선거법에 30%를 공천토록 규정돼 있으나 국민의힘이 25명(11.7%), 민주당이 33명(16.5%)에 그쳐 턱없이 부족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6위에 그친 저조한 여성 의원 비율이 다음 국회에서도 이어질 판이다.
  이번 여야 공천의 특징은 자객(刺客)공천이다. 심지어 전략공천에 따른 당내갈등을 잠재울 목적으로 ‘무연고 돌려막기’ 공천이 기승을 부린 것도 문제다. 민심과 동떨어지고 기득권 챙기기에 급급한 공천을 유권자들은 묵과하지 말고 심판이 냉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