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보다 20~30% 저렴한 초저가 할인매장이 향후 국내 중소유통업체들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하드디스카운트 스토어의 경영전략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유럽 소매시장에서는 대형마트보다 20~30% 저렴한 제품을 제공하는 초저가 할인매장, 이른바 ‘하드디스카운트 스토어’가 인기”라며 “이는 국내 중소유통업체들의 새로운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하드디스카운트 스토어는 유럽 식품유통업 매출에서 약 1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각각 32%, 27%를 차지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그 성공비결로 ‘자체상표(PB) 확대’, ‘품목수 제한’, ‘검소한 점포환경’ 등을 거론했다.
보고서는 “하드디스카운트 스토어에는 유명상품 대신 자체상표를 부착한 상품이 전체의 70%”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매장인 스위스 ‘알디’는 자체상표의 비율이 98%에 이른다.
품목수 제한 역시 경쟁력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이들 매장은 대형마트와 달리 끊임없이 취급제품을 선별해 의도적으로 품목수를 적게 가져간다”며 “규모를 늘려 비용을 절감하는 ‘규모의 경제’ 실현의 대표적 매장”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하드디스카운트 스토어는 품목수를 잘 팔리는 생필품 위주로 1000개 내외로 제한하고 있다. 또 상품 카테고리당 1~2개의 제조업체만 거래한다. ‘제한된 상품수는 상품회전도 빠르다’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주 단위 프로모션 전략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매주 15개~25개의 특별 판매전을 통해 집객력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이은철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 전략기획팀 선임연구원은 “아직 도입 계획은 정확히 나오지 않았지만, 도입된다면 국내 중소유통업체들의 새로운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식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금융위기 이후 소비자들의 실속주의 소비성향 증가로 가격차별화가 중요한 경쟁력이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