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화가치의 평가절상을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제고로 단정짓는 것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코트라가 발표한 '최근 엔고 현상에 따른 우리 수출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엔화가치 절상이후 일본기업들은 부품의 해외조달을 늘리고, 중국·동남아 등에서의 해외생산 확대를 통해 엔고에 따른 제품가격 인상 압력에 대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코트라에 따르면 엔고에도 불구하고 일본기업들은 제품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일본 완성차업체인 닛산의 경우 지난해 20%인 해외부품 조달목표를 2012년까지 40%로 늘리기로 계획을 세웠다. 일본 전자제품 회사인 샤프는 지난 1월이후 동남아 시장에서 제품가격을 오히려 인하하는 등 오히려 공격적인 가격마케팅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 제조업의 해외생산 비중은 지난해 17.8%에 머물렀지만, 올해들어 일본 기업의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이 전년보다 2배나 많아 향후 해외생산 비중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코트라는 전망했다. 또한 여전히 비가격 부문에서 한국과 일본간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외 바이어들은 쉽게 거래선을 한국으로 바꾸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일간 품질, 기술 격차는 과거에 비해 많이 좁혀졌지만 단기적인 가격변동으로 한국제품이 부각될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코트라의 분석이다. 이탈리아의 한 바이어는 "수입선을 전환할 때는 환율뿐만 아니라 품질, 거래조건을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며 "엔고로 수입선을 변경할 정도의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의 철강수입업체 씨트라누그라카리야는 "일본산 철강제품 가격이 5% 상승했지만 일본 철강사들이 할인 및 환율보상 등의 방법으로 가격인상분을 보상해주고 있어 오히려 선구매했다"고 말했다. 원화가 강세를 보이는 점도 엔고효과를 반감시키는 것으로 코트라는 지적했다. 실제로 미 달러화 대비 엔화가치는 지난해 연초보다 5.6% 절상된 반면, 원화는 12.9% 평가절상됐다. 코트라는 "최근 한국기업들이 미 달러화 외에 유로화, 엔화 등으로 결제통화를 다변화한 것도 과거에 비해 환율변동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선희 코트라 통상조사처장은 "반도체, LCD, 자동차 등 일부 품목이 엔고효과를 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엔고를 극복하려는 일본 기업들의 움직임은 향후 일본과의 경쟁에서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처장은 "따라서 일본기업들의 부품 아웃소싱 수요에 적극 대응함은 물론 품질, 기술, 마케팅 등 비가격경쟁력 분야에서의 격차 해소에도 신경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