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대부분은 최근 경기가 회복세라는 지표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5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흐름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GDP성장률이 7.2%를 나타내는 등 경기 회복세 지표와 체감경기간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25.2%는 '큰 차이가 있다'고 답했다. 응답기업의 63.8%는 '약간 차이가 있다'고 답했다. 89%의 기업이 지표경기와 체감경기간 괴리를 느낀다는 얘기다. 그 원인은 '내수부진'(63.4%)이 가장 컸다. '채산성 저하'(22.7%), '수출부진'(13.0%) 등도 거론됐다. 최근 국내경기 상황에 대해서는 '회복세이지만 그 속도는 느려진 것 같다'는 응답이 68.0%로 가장 많았다. '회복세가 지속중'이라는 의견은 17.8%였다. '하락세로 돌아선 것 같다'는 대답도 14.2%에 달했다. 연말 경기전망에 대해서는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50.8%)을 차지했다. 이어 '다소 나아질 것'(35.2%), '크게 나아질 것'(0.8%)이라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우리나라 경제의 불안요인으로는 '세계경제'(31.8%), '원자재 가격'(23.6%), '환율'(14.2%) 등 대외요인을 꼽는 기업이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세계경제의 더블딥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약간 있다'는 의견이 85.0%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손영기 대한상의 거시경제팀장은 "최근 지표경기와 체감경기간 괴리가 발생한 것은 전기·전자, 반도체 등 호황 업종과 조선 등 불황 업종의 업황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국내경제를 더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