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업체 고용동향'를 잠정 조사한 결과, 8월 현재 근로자수는 1373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만8000명(1.2%)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고용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는 1119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만7000명(3.1%) 증가했다. 고용기간이 한달 이상 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와 고용기간이 한달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184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만2000명(11.2%) 감소했다.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수수료 등을 받는 기타종사자는 69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3000명(9.9%)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전년 동월에 비해 10만9000명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다음으로 건설업 5만명, 사업시설업이 4만7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월대비 증가비율로는 사업시설(7.2%), 금융업(5.6%), 건설업(5.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숙박업(-7.7%), 하수폐기업(-5.7%)은 근로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빈 일자리는 20만4000개, 빈 일자리율은 1.5%로 나타났다. 빈 일자리수는 전년동월 대비 8.5% 증가했으며, 빈 일자리율은 전년 동월(1.4%) 대비 0.1% 포인트 증가했다. 빈 일자리는 현재 비어있을 뿐 아니라 1개월내에 채용이 가능한 일자리로 빈 일자리 1개당 실업자수(실업자수/빈 일자리수)는 4명으로 전년동월 4.7명에 비해 0.7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빈 일자리 1개당 실업자수는 경기가 회복되면서 빈 일자리수가 증가하거나 실업자수가 감소하면 줄어들고 반대 경우에는 늘어난다. 상용직의 빈 일자리수는 15만8000개, 빈 일자리율은 1.4%로 전년 동월(13만7000개, 1.2%) 대비 각각 15.4%, 0.2% 포인트 증가했다. 임시·일용직의 빈 일자리수는 4만5000개, 빈 일자리율은 2.4%로 전년 동월(5만1000개, 2.4%) 대비 빈일자리수는 10.4% 감소했다. 산업별로 빈 일자리수는 제조업(6만6000개), 도소매업(3만5000개), 음식숙박업(3만2000개)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의 입직률은 3.2%로 전년동월(3.5%)대비 0.3% 포인트 감소했으며, 이직률은 3.3%로 전년동월(3.7%)대비 0.4%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관계자는 "계속되는 경기호조에 따라 금융업, 사업시설관리 및 지원서비스업, 제조업 등에서 근로자수, 빈 일자리수 및 빈 일자리율이 증가하는 등 고용사정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