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대구 경북지역 주택시장이 질적으로 악화했다는 증거다. 부동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건설사 현금흐름이 나빠지면서 중소건설사 연쇄 부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로 보면 된다.   한국은행 대구 경북본부의 '대구 주택시장 부진 지속에 따른 주택·금융권 리스크 점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대구의 아파트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체 미분양의 13.3%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 통계를 보면 지난 3월 기준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9천814호,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천306호다. 준공 후 미분양 비중은 지난해 3월 7.2%(1만3천199호 중 956호)보다 6.1%포인트(p) 상승했다. 부실 위험을 낮추고 부동산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부동산 PF 사업장 구조조정 추진이 필요하다.   한은 대경본부는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2월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했으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증가해 질적으로 다소 악화했다"며 "수성구에서 할인 분양 등으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일부 해소됐으나 동구, 서구에서는 오히려 증가해 차별화가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주택시장 부진 요인으로 ▲장기 평균을 상회한 공급량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매수심리 약화 ▲2020~2021년 상승한 주택가격에 대한 고평가 인식 등을 지목했다. 인허가·분양 과잉으로 미분양 물건이 쌓이고 아파트 가격이 하락했다는 진단이다.   하지만 악성 미분양 해결책은 관련 당국의 의지에 달렸다. 금융당국이 PF 사업장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을 낮추고 부동산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부동산 PF 사업장 구조조정 추진을 서둘러야 한다. 사업성에 따라 양호 혹은 부실 사업장을 가려 사업을 정상화하거나 정리하는 방안도 있다. 부동산 PF 사업장 구조조정과 정부의 전폭지원으로 주택시장이 서서히 회복할 경우 지역 건설사, 금융권 경영 여건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 회복은 부동산 경기 회복에 있다.    정부는 주택시장이 활성화될 경우 악성 미분양은 서서히 해소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무 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분양시장 회복이나 금융여건 완화가 늦어지면 해당 건설사들과 하도급 계약을 맺은 지역 중소건설사들에 대한 대금 지급 지연으로 이어진다. 이는 연쇄적인 중소건설사 부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악성 미분양 해결에 금융당국과 정부는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