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인력·기술면이 절대 부족한 온실가스·에너지 관리 중소기업의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지원방안'을 마련, 내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또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부터 기술·자금을 지원받아 발생한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실적 중 일부를 대기업의 실적으로 인정하는 '그린 크레딧 제도'도 도입된다.
지식경제부는 6일 서울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산업·발전분야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업체 및 국내·외 전문가 등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국제컨퍼런스를 열고 이 같은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지원방안'을 마련해 내년부터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정부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에서 제시한 것으로 대부분의 대기업이 이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설·설비 등을 충분히 갖춘 상황에서 추가투자 여력을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대기업이 협력업체에 대한 온실가스감축 시설을 지원할 경우 제도상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경쟁력 제고를 유도한다는 정부의 판단이 깔려 있다.
또 신규투자설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목적으로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융자자금을 올해 1350억원에서 2011년 4500억원으로 확대한다. 자금 일부를 중소기업 전용으로 운영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이자율도 추가로 인하할 예정이다.
아울러 목표관리제 자문, 명세서·이행계획서 등 작성지원을 위한 고급행정·기술인력인 '에너지멘토' 30여명을 4개 업체당 1명씩 배치, 전반적인 온실가스 감축업무를 지원한다.
김정관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녹색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선진기업의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포스코, SK에너지, 삼성전기 등 국내 기업들은 온실가스·에너지 저감을 위한 경험 및 노하우를 설명하고, 사내에서 준비 중인 목표관리제 대응 전략을 소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말 374개 산업·발전분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업체를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