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의사협회 갈등이 언제쯤 봉합될까? 중대본부는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로 국민의 의료 이용 불편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집단 진료 거부 결정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고 강경대응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 강경 방침에도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집단휴진을 결의하면서 환자들의 불안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의협은 의대 증원의 원점 재검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18일 집단휴진을 하고 총궐기대회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한덕수 중대 본부장은 ”복귀하는 전공의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지만,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아예 없던 일로 만들어달라는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무리한 요구를 거두고 의료 개혁에 동참해 주체이자 브레인이 돼 주시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의협은 의대 증원의 원점 재검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계획대로 집단휴진에 이어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했다. 의사협회는 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발표로 촉발된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이 이미 4개월을 넘겼지만, 아직도 끝이 보이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환자를 외면한 채 거리로 나서겠다고 선언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다. 환자의 건강을 볼모로 한 의사들의 극한투쟁은 명분도 없을 뿐 아니라 실리도 얻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정부는 의사들의 집단휴진을 의료법에서 금지한 진료 거부로 보고 단호하게 대처하기로 했으나 강경책이 갈등 봉합을 더 늦추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정부는 비상 진료체계를 굳건히 유지하면서 불법행위에는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마치 마주 보고 달리는 기차처럼 의료계와 정부가 강 대 강으로 부딪치는 모습에 환자들은 속이 타들어 간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를 비롯한 92개 환자단체는 공동 성명서에서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했던 환자들에게 의료진의 연이은 집단휴진 결의는 절망적인 소식”이라고 애절하게 호소했다. 의사들은 환자들의 호소를 받아들여 집단휴진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 의료계가 주장하는 대로 정부의 정책 추진이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게 의사들이 환자의 곁을 떠나는 이유가 될 순 없다. 의사의 사명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환자와 의사가 활짝 웃는 날이 오늘이기를 기대해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