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그린크레딧제도를 도입하고 온실가스 인벤토리(온실가스 배출원을 목록으로 만들어 통계화) 구축비용과 컨설팅 등을 지원키로 했다. 지식경제부와 녹색성장위원회는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제9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방안으로는 대·중소 기업간 그린크레딧 도입, 목표관리제 이행체계 구축, 설비투자 지원강화, 에너지진단 효율성 제고, 온실가스 감축 인센티브 강화, 기술지원 및 정보제공 등 6가지 핵심과제가 포함됐다. 중소기업은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2010년 산업·발전분야 374개 온실가스·목표관리업체' 중 120개로 32.1%를 차지한다. 그린 크레딧 제도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기술·자금을 지원하고 이로써 발생한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실적 중 일부를 대기업의 실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자금 및 기술지원 등을 활용해 온실가스를 감축, 에너지 절약을 통해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대기업은 중소기업의 원가절감에 따른 부품가 인하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지경부는 중소기업의 경우 2011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과 명세서·이행계획서 작성을 위한 컨설팅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2011년 목표관리제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180여개 사업장에 인벤토리 구축비용 1700만원씩 총 30억6000만원을 지원하고, 사업장이 2011년 3월까지 작성해야 하는 4년간(2007~2010년)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사용량 명세서 작성에 필요한 전문 행정컨설팅(1개 업체당 3인, 1개월) 등을 지원한다. 또한 현행 에너지진단 비용지원 대상이 아닌 연간 에너지사용량 1만TOE 이상 중소기업인 경우에도 목표관리업체인 경우에는 에너지 진단비용을 보조한다. 목표관리 대상 중소기업에 대해 수시로 목표관리제에 대한 자문을 구하도록 '에너지멘토' 30여명을 4개 업체당 1인씩 배치해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한다. 아울러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융자자금을 올해 1350억원에서 2011년부터 4500억원으로 확대하고 이 중 3000억원을 중소기업 전용으로 운영해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자금조달 부담을 줄여준다. 이밖에 전담인력이나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선진 에너지절약 기술 및 온실가스 감축 노하우를 손쉽게 활용하도록 '온라인 에너지진단 시스템'을 개발·보급하고,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록 하한선을 기존의 500t에서 100t으로 하향조정해 중소기업의 소규모 감축사업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 에너지관리공단의 서울, 경인, 충정 등 8개 지역별 센터에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지원 실무위원회를 구성해 정기적으로 지원실적을 점검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그린 크레딧의 추진 근거 및 세부추진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고 중소기업 대상 설명회 개최 등 지속적인 홍보에도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