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15대 재벌기업의 순이익은 증가했으나 고용은 미비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상위 15대 재벌의 상장계열사에 대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중심으로 2005년~2009년 고용, 순이익, 사내유보금, 투자금액에 대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당기순이익이 2005년 29조6791억 원에서 2009년 33조7488억 원으로 조사돼 13.7%인 4조697억 원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삼성은 2005년 7조6316억 원에서 2009년 13조3830억 원으로, 5년간 5조7514억 원 증가해 당기순이익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LG는 4조1041억 원, 현대자동차는 2조4847억 원, 현대중공업은 2조1371억 원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사내유보금의 경우 2009년 27조3240억 원으로, 2005년에 비해 20.3%인 4조6189억 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5년간 사내유보금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삼성으로, 6조3925억 원에서 11조3074억 원으로 4조9149억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는 4조5095억 원, LG는 3조5105억 원, 현대중공업은 1조99305억 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고용추이의 경우 2005년 53만397명에서 2009년 53만4804명으로 총 4407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은 6.9%인 9720명 증가했으며, 현대자동차는 8.3%인 8104명, LG는 8%인 5114명을 각각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K와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한진, KT, 두산, LS 등 8개 기업은 고용이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롯데는 -24%인 7243명, KT는 -18%인 6935명, LS는 -35.75%인 2769명을 각각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액의 경우 2009년 말 34조9600억 원으로 2005년 32조2404억 원에 비해 2조7196억 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돼 투자액에 대해서는 연도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경실련 측은 전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15대 재벌그룹의 고용은 당기순이익과 사내유보금 등 기업 재무성과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업의 이익증대에도 불고하고 고용은 증가시키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