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G20서울 정상회의는 향후 G20의 미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G20서울 정상회의는 글로벌 불균형 해소과정에서 G20을 통한 국가 간 협력 모멘텀이 사라질 것이라는 회의론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돼야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2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또한 "G20서울 정상회의에서는 과거 정상회의에서의 합의사항에 대한 종합적인 액션플랜 도출과 더불어 IMF개혁, 자본건전성 규제 등 주요의제에 대한 합의가 도출될 것"이라며 "의장국으로서 한국이 새로이 제시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저소득 국가 경제개발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자본시장연구원과 캐나다 토론토대학 멍크 국제대학원 G20연구그룹, 조선일보가 G20서울 정상회의를 기념해 공동으로 주최한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G20지배구조 개혁 및 책임성 개선, 향후 G20 논의 방향 등에 대한 주제발표 및 토의가 이뤄졌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외교안보연구원의 이동휘 교수는 "향후 G20지배개선을 위해 회원국 구성 및 비회원 참여 장려를 위한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국제수지 불균형 이슈에 대한 진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사무국 설치를 통한 논의의 지속 및 이향사항 점검 등의 모니터링을 확대하며, 의장국 선정절차를 비롯해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등의 이슈를 포함시킬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멍크 국제대학원 G20연구그룹의 앨런 알렉산드로프 공동의장은 "G20서울 정상회담은 새로운 G20 아젠다 제시와 더불어 기존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을 확인하는 중요한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며 "서울 정상회담 이후 주요 협력사항에 대한 이행 및 책임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사무국 설치와 전문가 그룹의 지속적인 관심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스탠리 재단의 프로그램 담당관인 데이비드 쇼는 "2008년 워싱턴 회담 이후 G20 체제는 글로벌 경제협력을 위한 최고위급 포럼으로 등극했다"며 "향후 G20체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G20 회원국을 아프리카 지역으로까지 확대하고, 정상회의 지속 여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G20협력분야를 경제분야로만 제한한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파이낸싱 수요, 반부패, 국제핵에너지 이용에 관한 규제, 테러관련 범죄 처벌에 대한 국제적 규약, 노동환경 및 기준에 대한 국제적 협의 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이밖에 멍크 국제대학원 G20연구그룹의 도날드 브린 공동의장은 "금융위기 이후 지금의 글로벌 정책공조는 단기적 목표에 치중하고 있고, 장기적 목표인 견고한 금융체제의 건설에 대한 목표완성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며 "장기적 목표 달성의 주요한 저해요인은, 세계 각국이 과연 견고한 금융시스템 건설이라는 공통 목표아래 자국의 경제적 우선 순위 정책에 대한 양보를 이룰 수 있을 지 여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