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대기업은 고용을 늘리고, 중소기업은 고용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고용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자체 기업정보포탈인 코참비즈에 수록된 전국 6만6000여개 기업의 최근 3년간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업은 종업원수를 전년보다 4만9954명(3.2%↑) 늘린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1만7355명(1.0%↓)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종업원 규모를 비교해 보면, 상시 종업원수 1000명 이상의 대기업은 총 1308개로 약 160만여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만3000여개의 중소기업 고용인원인 131만여명을 훨씬 웃도는 셈이다. 대기업은 각 사당 1226명을, 중견·중소기업은 각각 436명, 21명을 고용하고 있다. 지난 2년간 고용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서울이었다. 9만8448명 증가했다. 가장 많이 줄어든 지역은 경기였다. 1만28명 줄었다. 경기 지역의 고용인원 감소는 자동차, 기계, 전자 등 도내 주요공단의 부진과 그로 인한 설비투자 감소, 건설경기 악화 등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8.7%↑)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대전의 경우 대덕 테크노밸리와 4개 첨단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950여개 기업의 공장가동률이 증가해 2년새 4700여명이 증가했다"며 "고용 증가율면에서 전국 최고이기도 하지만 추가 고용 창출 규모면에서도 서울에 이어 두 번째"라고 말했다. 업종별 고용규모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170만명 이상의 고용을 유지하면서 국내 일자리의 절반 이상(52.6%)을 책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8.1%), '금융보험업'(7.2%), '방송통신·정보업'(6%), '건설업'(5.1%)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8만5085명으로 5년째 가장 많은 고용을 창출했다. 이어 현대자동차(5만5984명), 기아자동차(3만2616명), KT(3만841명), LG전자(2만9554명) 순이었다. 전년 대비 고용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파리크라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LG디스플레이, 삼성테스코, LG전자 등이 뒤를 이었다. '1인 창조기업'도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인 미만' 사업장과 '10~4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이 전체의 58.6%를 차지했다. 창업주 1인이 운영하는 '1인 창조기업'도 8.8%를 차지, 2년새 약 900여개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정리해고에 따른 창업열풍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형서 대한상의 회원사업본부장은 "경기부침에 민감한 중소·중견기업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중견기업을 대기업으로, 중소기업은 중견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유인책 마련을 통해 경기상황에 좀 더 의연할 수 있는 규모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1인 창조기업으로 시작했지만 추가고용을 통해 기업규모를 키워나가는 사례가 많이 발견됐다"며 "이들 기업이 새로운 고용증대의 기대주인만큼 정부는 적극적으로 창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