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소도시 집값은 오히려 내려가는데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무섭다. 대구를 비롯한 수도권을 벗어난 중소도시의 부동산은 침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나 서울은 지난 1년 반 동안 꾸준히 올라 강남 4구는 무려 21% 상승했다.
  지난해부터 오르기 시작한 부동산은 올해 상반기 들어서도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곳곳에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만하다. 화들짝 놀란 정부는 8·8 대책을 발표하고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로 수도권 대출 한도를 줄이겠다고 한다. 얼마 전만 해도 집값 하락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을 걱정했는데 왜 갑자기 서울 아파트값이 오를까. 단기적으로는 금리 영향이 크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한 후 2달 만인 작년 1월부터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으로 전환했다.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은 요인은 외지인 구입도 늘어나고 실수요든 투자 수요든 전 국민이 서울 아파트를 원하는 지경이다.
 
작년 3분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자 4분기 서울 아파트값도 주춤했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 4.82%에 달하던 금리가 올 6월에는 3.71%까지 내려앉았다. 앞으로 금리는 더 내려갈 것이다. 수요는 쉴 새 없이 서울로 모이고 있다. 인구 감소가 눈앞으로 닥치면서 외곽지에 대한 불안은 커지고 전세 사기로 비아파트는 무섭다. 직장 근처 편리한 새 아파트에 살려는 젊은 맞벌이 가구는 급증하여 서울 우위는 난공불락의 성처럼 견고해졌다. 고점 대비 저렴한 서울 아파트는 손해 보지 않을 것이며 지금 말고는 가져볼 수 없다는 믿음이 팽배하다.
  하지만 비수도권 아파트값은 불행히도 주택 공급 마저 원활하지 않다. 주택 착공은 매년 줄어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정책 실책은 뼈아프다. 근래 서울의 집값이 오르자 가산 금리를 높여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끌어올려 지방만 벼락을 맞고 있다. 저 출생 대응 정책 자금은 규모를 늘리고 대상을 확대했다. 저 출생의 엄중성은 이해하나 실행 시점은 아쉽다. 공급정책도 문제다. 경기가 나빠 민간이 어려우면 공공이 나서야 한다. LH 사태에 발목이 잡히면서 작년과 재작년 공공의 착공 감소 폭이 민간보다 크다.
  금융과 부동산 수요·공급 정책이 서로 합을 맞추어야 한다. 사는 방식은 빠르게 바뀌고 소득·자산·지역 격차는 급격하게 커졌다. 땜질로 기워 놓은 주택 정책이 누더기처럼 엉성하고 거칠다. 주택 정책도 양극화가 심각하다. 경제살리기는 지방의 주택경기 활성화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