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선 건설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아 신한울 3·4호기를 비롯한 발전소를 지어도 놀릴 판이다. 원전이 많은 동해안과 태양광 재생에너지 발전이 많은 전남에서 전력이 생산돼도 이를 전기 수요가 많은 수도권으로 끌어올 방법이 없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오늘의 사태는 한전이 문 정부의 탈원전과 누적 적자 때문에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거의 손을 대지 못한데 원인이 있다. 뒤늦게 속도를 내려 하지만 곳곳에서 주민 반대, 지자체와 소송전 등으로 건설이 중단되고 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들은 전력망 투자를 국가적 현안으로 인식하고 전력망을 신속 확충하기 위해 과감한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다. 국회에 계류 중인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송전망이 지나는 지역 주민을 지원하고 각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법안이다. 여야 간 큰 이견이 없는데도 정쟁에 묻혀 언제 처리될지 기약이 없다. 세계는 현재 원전 르네상스 시대다. 기후변화로 무 탄소 에너지원 필요성이 높아진 데다, 인공지능(AI) 산업의 비약적 성장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했기 때문이다. 현재 프랑스 영국 폴란드 체코 네덜란드 등 17국에서 원전 60기가 건설 중이고 미국·일본 등이 정지된 원전 재가동에 나서고 있다. AI만 아니라 반도체·데이터·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산업은 모두 ‘전기 먹는 하마’여서 저렴한 양질의 전력인 원전의 뒷받침 없이는 존립이 아예 불가능해 송전선 건설이 시급한 이유다.   추석 연휴가 시작되기 전 울진의 신한울 3·4호기가 신청 8년 만에 원자력안전위 심사를 통과하면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신규 원전 허가는 8년 3개월 만이다. 신한울 3·4호기는 2017년 2월 발전 사업 허가를 받았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신규 원전 건설을 중단시켰다. 당시 부지매입과 설비 제작 등에 모두 7900억원이 투입된 상태였다. 신한울 3·4호기 허가는 무너졌던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는 출발점에 섰다고 할 수 있다. 울진군민들도 환영 일색이다.   한전은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기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야 한다. 송전선로가 부족해 수조 원을 투입해 건설한 발전소가 무용지물이 될까 두렵다. 한전의 고충은 이해가 가고도 남음이 있다. 송전선로 부족도 적자누적도 모두 문 정부의 탈원전 탓이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