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의 빠른 속도는 노인 인구가 벌써 1000만 명 시대에 진입했다. 닥쳐올 변화의 바람에 한발 앞서 대응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우리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새로운 사회에 선도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수가 1000만 62명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국민 5명 중 1명은 노인인 셈이다. 이 같은 초고령화 현상은 대구 경북도 예외일 수 없다. 고령 인구와 홀몸 어르신의 증가에 따라 의료비와 돌봄비용의 증가는 피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행동해야 할까. 어르신의 건강한 삶을 도모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획기적인 건강정책이 절실하다. 어르신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초고령사회를 극복해야 하는 이유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한 '방문의료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어르신들에게 건강관리, 운동, 정서 지원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이들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질 높은 여가 활동을 즐기며 신체적·정신적으로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불편한 어르신들께 방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이들의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막아 주는 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경북도는 단순히 의료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가정방문을 통해 어르신들의 생활환경을 파악하여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사회적 고립 방지에 적극적이 여야 한다.  하지만 자치단체들이 건강정책이 비슷하긴 하나 어르신들 각각의 특성에 맞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욕구 충족은 아직 멀었다. 건강한 어르신들이 활발하고 독립적인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병환 악화를 막아야 한다.   무의촌이 많은 농촌 어느 지역에서 생활해도 노년층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호전시키는 시스템 운영이 절실하다.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어르신들의 수명이 길어지는 데 대한 대책으로 노인 기준도 6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  오늘의 건강지수를 보면 65세는 아직 청년이다. 마을마다 어르신들이 운영하는 경로당이 있있지만 65세는 찾아볼 수 없다. 초고령사회에 어르신들이 정부로부터 제대로 대접받고 노후를 편안하게 보내려면 당장 노인 기준부터 고쳐 노인 인구를 줄여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