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스마트폰 가입자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SK텔레콤은 지난 10일 기준 자사의 스마트폰 가입자가 300만명을 돌파, 연말 목표치를 조기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연말까지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는 36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SK텔레콤은 지난 1월 올해 스마트폰 가입고객 목표를 200만명으로 설정한데 이어, 2분기(4~6월) 실적발표 당시 이를 300만명으로 올려 잡았었다. 특히 스마트폰 가입자 300만명은 지난해 말 SK텔레콤의 스마트폰 가입고객 대비 6.4배 증가한 것으로, 전체 고객의 약 11.8%에 해당한다. 지난해 말 SK텔레콤 스마트폰 가입고객은 47만명으로 전체 고객 대비 1.9%에 불과했다. 휴대폰 판매량 중 스마트폰 비율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12%에서 지난 5월 17.5%, 8월 37%로 상승한데 이어 10월에는 48.5%에 도달했다. 또 SK텔레콤이 스마트폰 가입고객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75%에 달했던 남성 가입자 비중은 지난 10월 말 63%로 낮아졌다. 76%에 달했던 20~30대의 비중도 같은 기간 68%까지 하락했다. SK텔레콤은 다양한 디자인과 특화 기능의 스마트폰이 대거 출시되면서 여성층 등으로 스마트폰 고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SK텔레콤은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가 연말 360만명 정도로 예상되며, 스마트폰 대중화 원년인 올해를 기점으로 내년에도 2~3배 빠른 성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난 10월까지 19종의 스마트폰을 출시한데 이어 연말까지 5종 이상의 스마트폰이 추가로 출시돼, 스마트폰 보급확산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SK텔레콤의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대중화에 따라 고객의 사용패턴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SK텔레콤이 10월 말 자사 스마트폰 이용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결과, 스마트폰 구입 고객이 PC·노트북·MP3플레이어 대용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설문 응답자의 29%가 스마트폰 구입 후 PC 사용시간이 10%에서 최대 80%까지 줄었다고 대답했다. 노트북을 갖고 있는 응답자의 42.3%가 스마트폰을 노트북 대용으로 활용한다고 답했다. 이동 중 스마트폰 활용도 높아졌다. 출·퇴근, 등·하교 등 이동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답한 고객은 전체 응답자의 49.5%로 조사됐다. 이어 PMP 및 MP3 이용 9.8%, 신문보기 6.3%, 독서 1.5%, 특별히 없음 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동 중 휴대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일반폰 고객이 18%인 것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스마트폰 고객이 이동 중 가장 많이 쓰는 기능으로는 음악감상이 32.5%로 가장 높았다. 음성 및 문자 이용 20%, 게임 12%, 애플리케이션 활용이 11%로 그 뒤를 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