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특별시의 출범이 논의되면서 기대와 동시에 일각에서 제기되는 우려의 목소리 또한 없지 않다. 절차에서는 지역주민의 충분한 의견수렴이 없었고, 국회에서 특별법이 무난하게 통과될 수 있냐는 우려이다. 
 
내용에서는 필요한 권한이양이 충분하지도 않고, 지방교부세 등 재정지원이 없는 권한이양이 무슨 도움이 되겠냐는 비판이다. 
 
효과에서는 인구유출을 막을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이 과연 가능하고, 북부지역 등의 지역불균형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다. 
 
이제 출발점이라 확정된 모습을 보여 줄 수 없어서 당연히 제기될 수 있는 우려들이다.그러나 대구경북특별시에 쏟아지는 우려들을 해소할 수 있는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2003년 제주특별자치도를 설계하던 당시에 들었던 우려들이 현재의 대구경북특별시에 대해 제기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제주도민들이 참여하는 충분한 논의과정도 부족했고, 재정지원 대책도 명확하지 않았으며, 특히 한라산을 중심으로 서귀포 지역의 산남과 제주 지역의 산북 간의 지역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들이 그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17여년이 경과된 현재 시점에서 보면, 난개발에 따른 환경파괴도 적지 않았고, 제주시 중심의 인구밀집으로 불균형이 심화된 부작용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인구규모에서는 출범 당시 50만여명에서 현재의 70만여명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일자리가 늘어나고 전국에서 제주특별자치도로 사람들이 유입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관광객 등 생활인구를 고려하면, 제주특별자치도는 하루 100만명 이상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탈바꿈하였다. 강원특별자치도와 전북특별자치도와 같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들이 제주특별자치도를 모범으로 삼은 이유이기도 하다.
대구경북특별시는 제주특별자치도보다 더 많은 권한이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 이후 17여년에 걸쳐 4,700여개의 국가권한이 이양되었다면, 대구경북특별시는 이를 넘어서는 권한이양을 계획하고 있다. 
 
권한이양의 규모에 따라 당연히 상응하는 재정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법적 지위도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목표로 장관급의 시장을 배출할 계획이다. 이를 활용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는 현상을 막아보자는 것이다. 
 
물론 부작용이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의 시행착오를 타산지석으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들을 사전에 마련한다면, 후발주자의 잇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 대구경북특별시는 현재의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비해 권한이나 재원이 분명히 늘어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대구경북특별시의 출범이 권한과 재원을 내어주는 중앙정부가 우려할 사안인지, 아니면 권한과 재원을 받아오는 대구광역시 또는 경상북도가 우려할 사안인지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 대구경북특별시로 이관이 되면, 인력과 예산이 삭감되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우려할 사안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대구경북특별시라는 목표에 대해 의문을 품을 필요는 없다. 다만, 의견수렴을 포함한 절차적 합리성이나 부정적 파급효과 등에 대해서는 사안별로 지역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대책을 마련하고, 충분히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