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층 이상 고층복합건물 413곳의 소방안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소방방재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임동규 의원에게 제출한 '고층복합건축물에 대한 관계기관 합동안전점검 결과'에 따르면 전국 11층 이상 4955개 중 413곳(8.3%)이 소방시설 '불량' 판정을 받았다. 소방방재청은 지난달 1일 부산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 이후 이달 5일까지 소방 공무원과 건축, 전기, 가스 전문가 등 2135명으로 구성된 합동 점검반을 꾸려 고층복합빌딩의 소방안전 여부를 대대적으로 진단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국 고층복합건물의 방화 시설을 전수조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부산은 723개 건물 중 142곳(19.6%), 인천은 138곳 중 28곳(20.2%), 울산은 103곳 중 24곳(23.3%), 경남은 230곳 중 53곳(23.0%) 등 10개 건물 중 2개 꼴로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이 고장 났거나 관리가 부실해 불량 판정을 받았다. 소방방재청은 소화기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스프링클러, 화재감지기 등이 작동하지 않은 사례(557건)에는 시정명령을 내렸다. 상업 및 주거 시설이 분리돼 비워둬야 하는 피트(PIT) 층을 미화원 휴게실 등으로 사용하는 등 법규를 위반한 경우(95건)에는 기관 통보하고 피난통로를 폐쇄하는 등의 법규를 어긴 행위(8건)에는 과태료를 물렸다. 특히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의 주원인으로 꼽힌 피트 층 무단사용이 인근 건물 3곳에서도 확인됐다. 11층 이상 고층복합건물은 서울이 2543곳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많았지만 21곳(0.8%)만 불량 등급을 받아 소방 안전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765곳 중에서 99곳(12.9%)이 불량 진단을 받았고 충북은 고층복합건물이 8개밖에 없지만 5곳이 소방 시설에 문제가 있었다. 임동규 의원은 "최근 대형빌딩 화재 사건으로 국민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런 결과가 나와 우려스럽다"며 "소방 당국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예방에 더욱 주력하고 건물주들도 책임감을 느끼고 자체 점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