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조작이 힘든 전신 마비 등 중증 장애인들을 위해 호흡만으로 TV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T는 이상묵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TV 채널이나 볼륨 조작을 자력으로 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셋톱박스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앱 개발은 KT 중앙연구소와 이상묵 교수팀이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교육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식경제부가 지원하는 QoLT(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의 일환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다. 별도의 장비구축이나 기존 장비 교체없이 인터넷TV(IPTV) 셋톱박스의 USB단자에 장애인용 구강 마우스 등 장애인 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먼저 마우스를 길게 불면 TV가 켜지고, 또 한번 불면 채널을 하나씩 상위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마우스를 빨면 하위채널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 채널모드에서 불륨모드로 전환하려면 마우스를 2~3초 길게 들이마시면 된다. 이 모드에서 불면 소리가 커지고 반대로 흡입하면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KT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채널변경, 소리조절 등이 힘들었던 전신 마비 장애인도 자력으로 TV 제어가 가능하게 됐다"며 "또 장애인 전용 기기를 개발하면 가격이 상당히 비싸지만 이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셋톱박스 장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약 40여만명 이상의 중증 장애인에게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IPTV를 활용한 자력으로 교육 콘텐츠 시청이 가능해져 보편적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KT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애인 보조기구과 IPTV 셋톱박스를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개발을 토대로 올 연말까지 중증장애인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이후 상용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