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일반폰이나 스마트폰 구분없이 무선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하도록 '무선인터넷 접속번호(WINC)서비스 활성화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WINC는 휴대폰 키패드 상의 숫자와 무선인터넷 접속버튼(네이트, 쇼, 오즈)를 눌러 인터넷에 접속하는 무선인터넷 접속체계를 말한다. 일반 휴대폰으로 '외교통상부'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키패드를 28번 클릭해야 URL(m.mofat.go.kr)을 입력할 수 있지만, WINC번호는 영어 철자 mofat에 해당하는 휴대폰 키패드를 5번만 클릭하면 된다. 그러나 WINC 서비스는 번호가 길고 기억하기 어려워 인지도가 낮고 핵심 서비스의 부재로 활성화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무선인터넷접속방법을 URL(브라우저)방식, QR코드 인식 방식 외에 WINC번호를 통해서라도 더욱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방통위는 △0으로 시작하는 번호 △한 자리번호 △특수번호 등 그동안 유보됐던 WINC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또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도 WINC 접속이 가능하도록 전용 앱을 개발하는 한편, 번호회수제도를 마련키로 했다. 이에 따라 전국 지역번호(DDD), 집전화번호, 가게 전화번호 등 '0'으로 시작하는 WINC번호를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진다. 예컨데 서울시의 경우 현재 WINC번호가 702로 등록돼 있지만, 앞으로는 서울의 지역번호인 02+무선인터넷키를 누르면 서울시 모바일 홈페이지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중식, 한식 등 각종 식당이나 1인 창업자 등이 가게 전화번호로 이용중인 유무선 전화번호를 WINC번호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데 한식당의 '02-123-4567'라는 가게 전화번호와 무선인터넷 키를 누르면 식당에서 운영중인 모바일 홈페이지 상에서 오늘의 추천 매뉴, 매뉴별 가격, 식당 찾기 등이 가능해 식당 홍보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WINC 번호 서비스는 개인번호 및 기관번호(평균 7자리), 익스프레스 번호(평균 3자리) 등 3종류가 운영되고 있는데, 번호 자리수가 길거나 기억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방통위는 그간 유보돼 왔던 한자리 WINC번호를 적극 개방할 계획이다. 번호 1과 무선인터넷키를 누르면 KBS, YTN 등 각종 뉴스 모바일 홈페이지로 연결되거나, 번호 2와 무선인터넷 핫키를 누르면 각종 날씨 전용 모바일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다만, 0~9까지 한정된 번호 자원을 희소성을 고려해 0과 9는 국가 행사용으로, '1~4'는 뉴스, 날씨, 교통, 관광 서비스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에 제공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최근 스마트폰 가입자가 500만명을 돌파했고 앞으로도 스마트폰이 대중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기에서도 쉽게 WINC 번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며 "이통사의 내부 포털이 기본으로 탑재된 스마트폰에는 WINC 포털 어플리케이션도 기본으로 탑재되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