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이 3분기째 하락하고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속보치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0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실질 GDP 증가율은 전기대비 0.7%, 지난해 동기대비 4.4%를 기록했다. 농림어업은 지난해 동기대비 7.5% 감소하면서 속보치에 비해 1.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03년 4분기의 -8.0% 이후 6년9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정영택 한은 국민계정실장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벼 생산량 감소 등 농림어업의 성장둔화가 전체 성장률을 0.1%포인트정도 낮췄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은 2.7% 성장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은 일반기계와 운송장비, 정밀기기 등을 중심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0.1% 증가했으며 건설업은 기계조립설치 등 토목건설 호조에 힘입어 1.0% 증가했다. 3분기 실질 GNI는 전기대비 0.2% 증가하면서 지난해 1분기의 -0.7%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대비로는 4.3% 증가해 지난해 3분기의 3.7% 이후 최저치였다.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손실 규모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정영택 실장은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손실 규모가 늘어났다"며 "GNI 증가율이 성장률을 밑돌아 장기적으로 체감경기가 지표경기보다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총저축률은 민간과 정부의 최종소비지출이 명목 국민총처분가능소득보다 더 크게 늘어남에 따라 전분기 31.7%에서 31.2%로 하락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9.2%로 전분기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국외투자율도 전분기 2.4%에서 1.6% 하락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