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창 금융감독원장(사진)은 저축은행의 부실 우려와 관련, "과잉 대응해서 문제를 키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저축은행이 파산 위기에 있다는 것은 과장된 표현"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 금감원장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적기시정조치 대상 저축은행 3곳은 자발적 증자나 자산매각 또는 시장에서의 인수·합병(M&A)을 통해 정상화 과정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금감원은 저축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내년에 5개 저축은행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5%를 밑돌아 부실 우려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그는 "스트레스 테스트는 당국이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며 "5개 저축은행은 현재 상태를 당국이 가만히 놔둔 상황을 가정한 것이어서 결과 자체만 갖고 저축은행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스트레스 테스트 관련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미리 준비할 것"이라며 "어느 정도 저축은행의 문제는 극복 가능하다. 금융당국도 위험한 부분이 무엇인지 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그런 부분은 잘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금융당국의 책임론에 대해서는 "지난 5년간 매년 30여명의 검사 인력으로 저축은행 60여곳을 검사해 매년 140여명을 문책하고, 60여명을 검찰에 고발했지만 끊임없이 문제가 나오고 있다"며 "검사 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 문제는 복합적인 것으로 과거 10여년간 정책 문제와 부동산 시장의 문제도 있다"며 "감독원에 문제가 없다고 할 수는 없으나 복합적 문제라는 것을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금감원장은 현대건설 매각 대금과 관련, "어떤 계약조건인지 기본적으로 양자간 자율적으로 해결할 문제"라며 "다만 금융사의 건전성에 영향을 미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모든 것을 투명하게 처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채권단이 자료를 요청했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현재로선 당국이 구체적으로 할 게 별로 없다"며 "대우건설 사태가재발하지 않도록 당사자들이 문제를 잘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채권단이 금융당국에 동양종금의 풋백옵션에 대한 사실 확인을 요청할 경우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현대그룹 측에 풋백옵션 자료를 요청했으므로 두고봐야 한다"며 "당국으로선 금융사의 건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면 볼 수 있겠지만 그건 일단 계약조건을 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지금은 계약조건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이 먼저 자료를 요구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투자에 참여한 금융사의 건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면 봐야 하지만 당사자들끼리 자율적이고 투명하게 해결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