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민간 주도로 대·중소기업 상생문화를 확산시키고, 업종별로 구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협력방안이 실천될 전망이다.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2011년 지식경제부 업무방향과 정책과제'를 업무보고했다. 지경부는 내년에 민간주도형 동반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업종별 이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대·중소기업, 지역, 제조업·서비스업간 동반성장을 확산시킴으로써 경제성장 동력을 확대하고 일자리 창출기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번달 출범한 동반성장위원회가 내년 초에 동반성장지수 개발을 확정하고, 이를 토대로 주요 대기업별 동반성장 이행실적과 협력기업(중소기업)의 상생 체감도를 평가·발표할 예정이다. 또 업종별로 수급구조 특성을 반영한 동반성장전략 이행이 추진된다. 예컨대 완성품·부품업계는 자동차·조선 등 수직계열화된 수급구조를 감안해 공동 연구·개발(R&D)확대, 해외동반진출 등을 2·3차 협력사로 확대한다. 소재업계는 철강·석유화학·섬유 등 소재대기업이 영세 중소기업에 원료를 공급할 경우 가격예시제, 표준거래제 등을 도입함으로써 공정거래질서를 확립한다. 정부는 또 '동반성장 사이버 종합지원센터'와 전국 12개 산업단지에 설치한 '지역별 지원센터'를 통해 기업현장의 동반성장 관련 애로사항을 적극 발굴·해소하고, 지속적으로 이행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아울러 중소·중견기업의 근원적인 경쟁력 제고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대등한 협력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원천기술 R&D, 고급인력, 해외마케팅 등 핵심역량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원천기술개발사업 참여주체 중 중소·중견기업의 참여 비중을 올해 17.9%에서 내년에 25%로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 대상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ATC) 지원을 올해 409억원에서 내년에 508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출연연구기관의 석·박사급 고급인력 파견을 확대 내년에 300명으로 확대하고, 코트라 내에 '동반진출지원센터' 설치, 중소·중견 브랜드 역량 강화 지원사업 도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성장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발굴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키우는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내년 1분기까지 후보군 30개기업을 선정해 지원하고, 2020년까지 글로벌 중견기업 30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밖에 중소·중견기업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구조개선계획에 대해 세제, 금융 등 각종 절차·제도상 특례를 패키지 방식으로 지원하고, 내년에 민관합동으로 산업단지 환경개선 펀드(600억원)를 조성해 노후화된 4개 산업단지(반월·시화, 남동, 구미, 익산)를 대상으로 QWL(Quality of Working Life)밸리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일자리·창업·현장 중심의 지원을 통해 지역산업 자생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테크노파크 입주기업 1300여개 중 성장잠재력과 고용창출력이 큰 기술기업 위주로 내년 2분기에 '지역 스타기업(Star Company)' 200개를 선정, 투자유치·기업공개(IPO)·해외진출 등을 지원한다. 또 상반기까지 지역의 연고자원과 지식서비스를 결합한 '지역 서비스기업 육성방안'을 마련해 지역의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수도권 이전기업에만 지원해온 '지역투자촉진보조금'을 지방 신·증설 투자기업에도 지원을 확대한다. 특히 지역의 자생적인 성장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신지역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산업 지원체계를 전면개편할 예정이다.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대신 '지역주도-중앙지원' 원칙하에 중장기 발전로드맵(10년)과 실행계획(3년)을 수립하고, 지역산업지원기관을 성과중심으로 재편하고, 광역·시도·기초지자체의 복잡한 지원체계를 통합·단순화한다. 아울러 제조업과 연계한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IT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산업을 발굴·육성한다. 예를 들면 의료, 광고 등에 3D기술을 융합한 3D융합서비스,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한 e-트레이닝 등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발굴한다 또 해외에 의존하는 매장량 평가, 탐사·시추 분야 등 자원개발 서비스 분야의 전문기업을 육성키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