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이 발생한 지 22일로 한 달째를 맞았지만 피해 주민들의 고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임시주택 공급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대부분 고령인 이재민들은 경로당, 마을회관, 모텔, 연수원 등 임시 거처에서 고단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다. 불에 탄 주택 등 시설물 철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역대 최악의 피해가 난 산림은 우기가 다가올수록 산사태 등 2차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질 전망이다.경북도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안동·의성·영덕·청송·영양 등 산불 피해 5개 시군은 이재민 수요 조사를 거쳐 임시주택 2692동을 공급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설치된 임시주택은 70여동뿐이다. 이 가운데 입주가 끝난 임시주택은 4가구에 그친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이달 말까지 임시주택 전체 공급 물량의 44%, 다음 달 말까지 나머지를 모두 공급할 계획이다.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5개 시군을 덮친 산불로 이재민 3773명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영덕 1135명, 안동 1129명, 청송 867명, 의성 507명, 영양 135명이다.소실 주택 등 시설물 철거와 폐기물 처리로 산불의 상흔을 씻어내는 데도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이번 불로 주택 3819채(전소 3563채, 반소 256채)가 소실됐다. 시군별 주택 피해는 안동 1379채, 영덕 1178채, 청송 787채, 의성 351채, 영양 124채다.안동시는 지난 20일부터 철거업체 13곳을 투입해 주택 등 소실 건물 철거에 들어갔다. 최대한 빨리 철거한다는 방침이지만 피해 시설이 많아 기한을 장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주택 등 건물을 뜯어낸다고 해도 폐기물을 완전치 처리하는 데는 장기간이 소요된다.안동시는 폐기물 약 48만2000t(처리비용 430억원)을 건설폐기물, 혼합폐기물, 지정폐기물 등으로 구분해 건설폐기물과 기타 폐기물은 관내 다섯 곳에 설치된 임시적환장으로 옮겨서 처리할 계획이다. 슬레이트와 같은 지정폐기물은 현장에서 해체·처리한다.이재민 등 주민들은 영농철을 맞아 농사를 본격적으로 재개했으나 주 소득원인 사과, 송이, 고추 등 작물 피해가 많은 데다 당장 피해가 나타나지 않은 작물도 앞으로 정상적인 생육이 이뤄질지 걱정이 앞서는 상황이다. 농기계도 불에 타 농기계임대사업소에서 빌려 농사에 나서고 있다. 이번 불로 농축산 분야는 농작물 2003㏊(과수 10851㏊), 시설하우스 1480동, 축사 473동, 농기계 1만7265대가 소실됐다.막대한 산림 피해로 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도 크다. 산림 피해 면적은 9만9289㏊(의성 2만8853ha·안동 2만6709ha·청송 2만655ha·영양 6864ha·영덕 1만6208ha)로 잠정 집계됐다. 당국은 산불 이후 장마철 산사태와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정밀히 조사해 당장 응급 복구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해 우선 예방사업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