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이 향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까?
대다수 전문가들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다른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27일 "중국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 전에도 꾸준히 지준율을 올리며 긴축정책을 펴왔고, 이미 시장에서 충분히 예상한 측면이 있다"며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곧바로 우리나라 기준금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 연구원은 "(한은이) 대외적 요인을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물가, 경기회복 속도 등 대내적 요인에 무게를 두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도 "중국 금리인상은 하나의 변수는 될 수 있지만 (국내 기준금리에) 직접적인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며 "국내경기 흐름과 대외경제 여건, 물가상승 압력까지 고려해 인상 폭과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 자체보다는 오히려 그 배경이 된 '차이나플레이션(Chinaflation, 중국발 인플레이션 확산)'의 국내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중국은 지난 10월 금리 인상 이후 2개월 간 3차례에 걸쳐 지준율을 높이는 긴축 정책을 시행했지만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5.1% 상승하는 등 물가불안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시장에는 중국 물가가 상승해 중국산 수입품 가격이 뛰면 국내 인플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물가상승은 기준금리 인상 요인이 되기 때문에 통화당국도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중수 한은 총재도 최근 "차이나플레이션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김상훈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물가 인상은 시차를 두고 우리나라에 반영될 것"이라며 "향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국은 '디플레 대 인플레', '경기부양 대 긴축' 구도를 한동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