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경을 뜻하는 라틴어 'cardinalis'는 중추 또는 경첩(돌쩌귀)을 의미하는 'cardo'라는 말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한자로 번역된 추기경(樞機卿)에서 '추기'라는 말도 중추가 되는 기관을 말하고 '경'은 높은 벼슬에 대한 경칭이다. 추기경은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가진 지위다. 교황을 직접 보필하면서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을 직접 관할하는 막중한 역할을 한다.추기경 임명은 교황의 고유권한이다. 일단 추기경이 되면 신분상 지위는 종신직이지만 80세가 되면 법률상 교황 선거권을 비롯한 모든 직무가 끝난다. 현재 교황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은 135명이다. 모두가 교황 후보도 된다. 이 가운데 110명 안팎을 역대 가장 진보적이었다는 평가가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했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후임 교황도 전임 교황의 유지를 이어받을 추기경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있다. 그간 교황청에 대한 불만이 누적돼 온 보수파 추기경들이 조직적으로 대항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이달 7일 차기 교황 선거(콘클라베)를 앞두고 가톨릭계의 치열한 보혁대결 전망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유력한 교황 후보로 꼽히는 개혁 진보 성향의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필리핀)이 2019년 한 행사에서 존 레넌의 '이매진'을 부른 영상이 최근 SNS를 통해 다시 확산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교계 안팎에선 ‘무신론적 찬가’를 부르는 이 영상의 재등장이 타글레 추기경을 겨냥한 의도적 공격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최근 영화 '콘클라베'를 통해 교황 선출의 이면이 조금씩 알려지긴 했지만 교황을 둘러싸고 권력투쟁이 벌어지는 현실은 여전히 낯설다. 이런 상황이 우리 정치 현실에 비춰 위로가 된다는 이들도 있다. 종교 지도자들도 자리를 두고 암투를 벌이는데 현실 정치판이야 오죽하겠느냐는 것이다. 한국 정치판에선 어이없고 희한할 일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 탄핵, 제1당 대선 후보에 대한 대법원의 사법적 판단, 탄핵 정권의 2인자가 대선 후보로 나서는 일 등. 참으로 이 나라엔 국민은 안중에 없고 자신과 진영의 이익만 좇는 이들밖에 없는가 싶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