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에 대항할 카드로 거론됐던 보수 진영의 빅텐트 구축이 파국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애초 빅텐트 구축의 첫 단추로 꼽히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의 단일화를 두고 당 지도부, 김 후보, 한 후보가 충돌하면서 파열음이 터져 나오는 것이다.단일화의 세 축인 당 지도부와 김 후보, 그리고 한 후보가 충돌하는 지점은 '시간'이다. 오는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이 마감되면 각 후보의 소속 정당과 기호가 확정되기 때문이다.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김·한 후보의 양자 토론과 이틀간의 여론조사를 거쳐 11일 이전 단일화하는 '로드맵'을 고수하고 있다. 김 후보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전당대회를 통한 '후보 교체' 카드도 거론되고 있다. 김 후보가 애초 경선 과정에서 '조속한 단일화'를 약속했다는 점을 내세우는데, 이면에는 김 후보가 필승 카드는 아니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번 주가 지나 한 후보로 단일화되더라도 그는 무소속이며, '기호 2번'도 쓸 수 없기 때문이다.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김 후보 제안대로) 15∼16일에 단일화하자는 것은 정당 기호 2번으로서의 단일화가 아니다"라며 "15∼16일 단일화 결과 만약 한 후보가 이긴다고 하더라도 수백억원대의 정당 선거운동 경비를 집행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김 후보는 이같은 상황을 역이용해 단일화 시점을 늦추면서 당 지도부와 한 후보를 압박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김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당의 단일화 로드맵을 거부하면서 "시너지와 검증을 위해 일주일간 각 후보는 선거 운동을 하고 다음 주 수요일에 방송 토론, 목요일과 금요일(16일)에 여론조사를 해서 단일화하자"고 제안했다.시간이 흐를수록 단일화 협상에서 자신의 주도권이 강화되고,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셈법으로 보인다. 한 후보가 "11일 이전까지 단일화가 되지 않을 경우 본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는 발언대로 후보 등록을 포기하더라도 자신은 단일화의 끈을 놓지 않았다는 명분을 확보해두려는 포석일 수도 있다.한 후보는 전날 김 후보와의 회담 직전 '후보 등록 포기' 카드로 배수의 진을 친 데 이어, 이날 김 후보를 향해 11일까지인 당의 단일화 로드맵에 응하라며 적극적인 공세를 폈다.한 후보는 이날 경북 구미의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자리에서 "자꾸 사실이 아닌 것을 말씀한다 '왜 한덕수 후보가 대통령 후보로 나왔는지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정말 기본적인 예의도 없는 것"이라며 김 후보를 직접 겨냥했다.이번주 안에 단일화를 통해 국민의힘에 입당하지 않을 경우 무소속 상태로 대선을 뛰어야 하는데, 당의 인적·물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력으로 레이스를 완주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현실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보수 진영의 빅텐트 구축이 각자의 엇갈린 이해관계 속에 내홍을 거듭하면서 김 후보와 한 후보의 '아름다운 단일화'는커녕, '적전분열'로 귀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