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금융위기 이후 크게 늘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최근 외환시장 불안요인과 대응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2008년 9월부터 올해 12월까지 28개월간 일평균 원달러 환율 변동폭은 10.7원이었다.
이는 위기 직전 기간 평균의 3.8배에 달하는 것이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일평균 원달러 환율 변동폭은 2.8원이었다.
원달러 환율의 안정성은 경쟁국들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이후인 2008년 9월부터 올해 12월까지 주요국의 환율 변동성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일평균 환율 변동률은 0.85%로, 중국(0.05%)의 18배, 대만(0.22%)의 3.8배 수준이다. 태국(0.18%), 일본(0.62%)에 비해서도 각각 4.6배,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기업들이 사업계획을 수립하거나 원자재를 도입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국내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 △단기외환 유출입 관리 강화 △외환시장 규모 확대 △결제통화 다양화 등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손영기 대한상의 거시경제팀장은 "내년에도 세계적 유동성과잉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시장으로 움직이면서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며, 이럴수록 기업의 불확실성이 커진다"며 "환율 안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