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것은 아름답다 / 하늘을 훨훨 나는 솔개가 아름답고 / 꾸불텅꾸불텅 땅을 기는 굼벵이가 아름답다 / (중략) / 아직 살아 있어, 오직 살아 있어 아름답다 / 머지않아 가마득히 사라질 것이어서 더 아름답다 /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시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에서)신경림(1935∼2024) 1주기를 맞아 시인이 생전 발표하지 않은 유작을 모은 유고 시집 '살아 있는 것은 아름답다'가 출간된다. 작고 전 마지막으로 펴낸 '사진관집 이층' 이후 11년 만의 시집이다.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인 도종환 시인은 1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몇 달 동안 신경림 선생님의 아드님이 원고를 보내준 것을 제가 창비와 함께 분류해서 엮고 해설을 썼다"고 밝혔다.도 시인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시 또는 기존에 문예지에 발표했으나 시집에 실리지 않은 시들을 담았다"며 "기존 시집에 실린 것들은 싣지 않았다"고 덧붙였다.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신경림 시인의 아들 신병규 씨는 "평소 아버지가 컴퓨터로 작업하셨는데 파일을 탈탈 털어서 정리했다"고 말했다.이번 시집에는 삶과 죽음, 사람과 자연 등 깊이 있는 주제를 특유의 포근하고 쉬운 언어로 풀어낸 시 60편이 수록됐다. 굴곡진 삶의 애환을 친근한 시어로 담아내 '민중 시인'으로 불렸던 시인의 한결같은 시 정신을 엿볼 수 있다.도 시인은 "시인이 60세를 넘으면 느슨해지고 시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신경림 시인은 돌아가시기 전까지 좋은 시를 이렇게 많이 남겨주셔서 고마운 마음"이라고 했다.시집의 제목은 시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의 첫 번째 행에서 따 왔다. 이 시는 언젠가 끝나는 생명의 유한함을 인정하고 그 아름다움을 찬미한다.이 밖에도 노년의 시인이 고단했던 자기 삶을 돌아보며 지나온 길에 아름다움이 있었음을 발견하는 시들이 실렸다. 순서상 가장 먼저 실린 시 '고추잠자리'가 대표적이다.농민들의 한과 고뇌를 담은 시 '농무'와 삶의 애환과 사랑을 노래한 '가난한 사랑 노래' 등 수많은 애송시를 남긴 신경림 시인은 투병 끝에 지난해 5월 22일 유명을 달리했다.1주기를 맞아 시인을 추모하고 그의 발자취를 기억하는 행사도 마련된다. 모교인 동국대에선 이달 15일 '신경림 추모 문학의 밤'이 진행되고 생가가 있는 충주 노은면에선 22일 추모제와 학술대회 등 '신경림문학제'가 장백문화예술재단, 신경림문학제추진위원회 주최로 열린다.창비는 이번 유고 시집과 함께 신경림 시인의 첫 시집이자 자사 시집 시리즈 '창비시선' 1호인 '농무' 특별한정판을 출간한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