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생물이 지난 10년간 35%, 습지보호지역에선 약 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유엔이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하루 앞둔 21일 작년 기준 국가 생물다양성 통계 자료집을 공개했다. 자료집에 따르면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생물은 작년 기준 6만1230종으로 10년 전인 2015년(4만5295종)보다 35%(1만5935종) 늘었다. 국가생물종목록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물의 정보를 집대성한 자료다. 이 목록에 등재된 생물이 증가했다고 생물다양성이 증진됐다고 보긴 어렵다. 한반도에 사는 생물은 총 10만여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함께 사는지 몰랐던 생물을 더 발견하면서 목록에 등재된 생물이 늘었다고 보는 편이 적절하다.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된 생물은 2015년 246종에서 작년 282종으로 늘었다.외국에서 들어와 생태계 균형을 깨뜨리거나 깨뜨릴 수 있는 생물인 '생태계 교란 생물'은 작년 40분류군으로 2015년 18분류군보다 2배 넘게 증가했다. 유입되면 생태계에 위협을 줄 우려가 있는 '유입 주의 생물'은 지난해 기준 853종이 지정돼 있어 2015년(55종)의 약 15배에 달했다.세계가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구를 위해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의 30% 이상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한다는 목표를 추구하는 가운데 국내 습지보호지역은 작년 1750㎢로 2015년(356㎢)에 견줘 5배 가까이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람사르습지는 21곳(186.23㎢)에서 26곳(203.19㎢)으로 5곳 많아졌다.    습지를 제외한 해양보호구역도 2015년 254㎢에서 2024년 436㎢로 늘었다. 국립공원을 비롯한 자연공원 면적은 2015년 828.95㎢(78곳)에서 8168.75㎢(81곳)로 증가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생물다양성의 가치와 생물자원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5일에 ‘생물다양성이 있는 날’ 첫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생물다양성이 있는 날’은 이달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일요일에 열리며, 동식물과 미생물을 주제로 한 공연, 강의, 만들기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전달할 예정이다.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 뮤지컬 ‘가자! 공룡탐험대’(5월) ▲나만의 반려식물(6월) ▲미생물 속 비밀소리(7월) ▲동물과의 공존 주제의 창작극 ‘페이퍼 사파리’(8월) ▲함께 살아가는 식물 STORY(9월) ▲미생물 판타지(10월) ▲환경 주제 공연 ‘북극곰을 지켜주세요’(11월) 등이 진행된다.여진동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전시교육실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생물다양성의 소중함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길 바란다”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