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행복학교(교장 강석근)는 국어학자 이상규 전 국립국어원장(경북대 명예교수)을 초빙해 ‘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을 주제로 21일 특강을 개최했다.    이 특강에는 60여 명의 초·중학생들이 경청한 가운데 경주행복학교 고문 임진출 전 국회의원, 김성춘 원로시인, 자문위원 현택수 경일대 명예교수 등이 함께하면서 학생들을 격려했다.   이날 특강에서 이상규 교수는 “우리말을 문자로 쓴 것이 한글인데 세종대왕은 한글을 ‘훈민정음’으로 불렀다. 그런데 그보다 앞선 시기, 신라인들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린 향찰(鄕札)로 향가라는 신라 노래를 기록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향가에는 신라인의 드높은 정신과 아름다운 우리말이 깃들어 있고 향찰은 한글의 창제 동기와 우리 민족의 언어적 주체성을 잘 보여주는 문자”라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을 토대로 “신라의 표기문자 향찰에 담긴 언어 주체성이 세종대왕에 의해 한글 창제로 이어졌고 한글에 담긴 애민정신, 자주정신, 실용정신이 오늘에 발현된 한글문화가 전 세계에서 만개할 수 있었다”며 한글의 역사적 공적을 역설했다.   또 그는 “우리나라는 한글 덕분에 근대사 100년 동안 교육, 산업, 문화 분야에서 선진국이  됐으며 앞으로 AI시대를 선도하는 언어가 될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경주 사람들이 사용하는 경주 말은 단순한 지역 사투리가 아니며 통일신라 이후 신라어는 신라 표준어였고 현대 한국어의 뿌리”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방언학의 관점에서 보면, 경주 사투리는 매우 귀중하고 멋지고 정감이 넘치는 말인 만큼, 경주행복학교 학생들은 경주말을 가장 잘 쓰는 사람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기를 당부했다. 이어, 노년에 한글을 배우고 초등중학학력 프로그램에 따라 공부하는 성인문해학교 학생들의 모습에서, 헌법정신에 맞는 ‘초등중학 학력인정학교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