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가 해체·개방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선 공약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 마디로 ‘낙동강을 비롯한 4대강을 재자연화를 강력하게 추진할 전망이다. 수문 개방은 과학과 공학의 진리를 정치적으로 왜곡하고 악용한다는 비난도 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탓인지 집중호우와 가뭄 피해가 갈수록 더 커지고 있다. 댐·제방·보 건설과 강 준설로 이를 극복해야 한다. 실제로 4대강 사업 이후 홍수·폭우 피해는 눈에 띄게 줄었다. 농업·생활용수 공급으로 가뭄 극복에도 큰 도움을 준다. 수질까지 개선됐다는 감사 결과도 나왔다. 
 
반면 환경 단체 등의 반대로 제방 건설과 준설이 안 된 4대강 지천에선 큰 피해가 나고 있다. 가뭄과 홍수 방지 항구대책으로 건설한 4대강 홍수 방지와 가뭄 대응, 수자원 확보에 필요한 핵심 대책을 사실상 폐기하겠다는 정책은 실패로 판명 난 문재인 정권 4대강 보 해체·개방 정책으로 회귀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금강·영산강 보(洑) 해체 취소 결정을 원상태로 돌리고 낙동강 등 4대강 보를 전면 개방하겠다고 했다. 또 지역 주민이 원치 않는 신규 댐 추진도 중단하겠다고 했다. 홍수 방지와 가뭄 대응, 수자원 확보가 난감해 졌다. 문 정부는 수천억 원씩 투입된 보를 해체 개방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을 백지화하기 위한 이유였다. 2021년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영산강 죽산보를 해체하고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는 상시 개방하겠다고 결정한 것부터 논란이 됐다. 수질 개선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명분이 약하다.
부동산 정책 실패로 국민은 고물가 고통에 몰아넣고 나라는 빚더미에 올려놓은 문재인 정권의 4대강 해체 개방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 문 정권은 우리나라에 유익한 원전을 폐기하고 중국산 태양광 패널로 전 국토를 뒤덮었다. 
 
특히 4대강 사업에서도 당시 조사·평가위원회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한 환경 단체 추천 인사들로 구성하고 의견이 다른 전문가는 배제했다. 경제성 평가 과정에서 보 상시 개방으로 수질이 오히려 악화 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자 불리한 실측치 대신 ‘보 건설 전 수질’을 평가 기준치로 삼았다. 자기편 사람들로만 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경제성도 사실상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문 개방은 보 주변 농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문 정부 당시 세종·공주·나주시 의회가 결사반대했다. 감사원도 2023년 문 정부의 결정이 부당하게 이뤄졌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재명 대선 후보는 문 정부의 수문 개방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수문개방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