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가 2일 종합재난상황실에서 사장이 직접 주재하고 전 간부가 참석하는 긴급 안전대책회의를 개최했다.회의에서는 전동차 객실의자를 포함한 내장재의 불연성, 비상통화장치, 비상개폐장치, 전동차 내 CCTV 작동상태와 역사내 비상유도등 설치, 열감지기 센서와 승강장․대합실 소화기 비치상태를 점검하고 승객 대피방송, 대피안내도 등 화재발생에 따른 단계별 조치계획을 포함한 전 분야를 꼼꼼하게 체크하고 미비한 사항이 없는지 확인했다.공사는 뼈아픈 중앙로역 화재사고 이후 총 534억원을 투입하고 74건의 화재대비 안전개선 사업을 추진했다.주요내용은 ▲전동차 내 내장재 불연성 재질로 교체 ▲역사, 본선 내 소화기 증설 ▲승강장 축광 유도타일 설치 ▲본선터널 내 대피로 확보 등 시설을 개선했다.제도사항으로는 기관 중 최초로 철도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하고 ISO45001 도입, 어떠한 화재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조치매뉴얼을 운영해 종합관제센터, 역 직원, 기관사 등 전 분야 합동으로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단계별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시 훈련 등을 통해 대응역량을 강화했다.특히 공사는 오는 7월 LTE-R(국가재난통신망)이 구축되면 AI기능 구현 등으로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열차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안전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공사 김기혁 사장은 “화재사고에 트라우마가 있는 대구 시민을 지키는 안전파수꾼으로 사소한 사항까지도 꼼꼼하게 점검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직접 현장을 점검하고 화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영진과 모든 직원이 한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