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대표적 국가산업 공단인 구미, 포항 공단 가동률이 70%를 밑돌아 지역 경제·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 가동 필요성을 주장했다. 
 
TF는 산업위기 지역 지정 추진 등 경제위기 긴급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소상공인·에너지 정책 및 북극항로 개발 등 새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공조 과제를 마련한다. 또 인공지능(AI) 시대 동남권 신 제조업 부흥 정책 등 미래 경제 전략과제를 구상한다.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의 위기 대응과 지역개발을 촉진하는 강력한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고 혁신을 통한 제조업 부활을 정책화해 정부에 건의한다.
 
경북도내 주력산업인 철강과 이차전지 기업들은 일감이 없어 설비투자와 원자재 수입마저 철회하는 상황이며 포항과 구미의 공장가동률은 각각 76%와 66%에 그친다. 또 올해 1분기 지역 건설수주액은 전년 같은 분기보다 35% 줄은 후 최근 3년간 건설수주액이 5조5천억원 감소하는 등 건설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크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는 경기 대응형 투자에 더해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구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미래 투자까지 정책에 반영하는 체계를 갖춰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