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인사 민정수석이 의혹에 휘말려 낙마한 데 이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각종 비리 의혹으로 해명에 진땀을 흘리고 있다. 재산 증식과 채무 거래 의혹 등에 대해 해명해도 의구심이 가라앉지 않고 있지만 청문회 통과는 자신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도 거치기 전에 경제·외교 안보·사회복지 관련 부처들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있어 도마 위에 올랐다. 청문회 준비를 위한 학습 차원이라지만 국회 다수 의석을 가지고 있어 국회 인준을 당연시하는 것으로 비쳐 너무 앞서간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총리 후보자가 대통령 신뢰를 받고 있다고 해도 청문회를 앞두고 부처로부터 공개 업무보고를 받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김 후보 측은 인수위원회도 없이 정부가 출범해 현안 파악과 대응이 시급하다는 해명하고 있으나 시선이 곱지 않다.
또 불거진 의혹들은 “정치검찰의 표적 사정”이라는 주장이다. 김 후보자는 2002년 서울시장 선거 출마 당시 불법 자금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징역형의 집행유예 판결을 확정받았으나 모두가 “정치검찰의 표적 사정”으로 억울하게 당했다는 해명이다. 자신이 요청하지도 않은 중앙당 지원금 성격의 기업 후원금 영수증을 실무자가 실수로 미발급한 것인데, 검찰이 자신의 책임으로 몰아 기소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법원은 김 후보자가 영수증을 발급할 수 없는 불법 정치자금임을 알았다고 판단해 유죄를 확정한 바 있어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밖에 김 후보자가 정치자금법 위반에 따른 추징금 수억 원을 갚고도 자산이 증가한 경위를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김 후보자는 2020년 채무만 5억8000여만 원이 있었는데, 인사청문요청안에 따른 올해 재산은 2억1500여만 원이다. 재산이 5년 새 8억 원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 기간 5억 원 남짓한 세비 외 다른 수익이 없는데 추징금에다 신용카드 지출, 아들 유학비까지 어떻게 감당했느냐는 의문 제기가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증거제시가 있어야 한다. 김 후보자는 아직 정확한 소득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있다.
물론 억울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불거진 의혹들에 대해 소상하고 진솔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 국정 2인 자인 국무총리에 대한 검증은 엄격할 수밖에 없다. 총리는 장관 임명 제청권을 가진 막강한 자리인 만큼 도덕성에서 존경받아야 한다. 의혹들이 해소되어 이재명 정부의 첫 재상(宰相)으로서 성공을 거두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