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왕향과 자왕향은 하늘의 좋은 기운을 받아 영혼의 안녕과 후손들의 발복을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는 좌향 조정법 중의 하나로 풍수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88향법이다.    즉 정해진 자연의 형태는 바꿀 수가 없으나 혈장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을 보고 하늘의 천기(天氣)를 적당히 받을 수 있도록 묘소의 좌향을 유리하게 조정함으로써 혈장의 길(吉)함을 고조시킨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왕향과 자왕향의 향을 놓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따른다. 첫째, 혈장에서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선룡에 좌선수 즉 용(龍)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고 물은 좌측에서 얻어 향을 감싸고 지나 우측으로 빠져나가야 한다.    여기서 패철로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을 측정하는데 둥근 나경 속의 24방위에서는 남쪽과 서쪽 사이의 방위인 정미, 곤신, 경유의 여섯 방위를 목국이라 하고, 서쪽과 북쪽 사이에 신술, 건해, 임자의 여섯 방위를 화국이라 하며, 북쪽과 동쪽 사이에 계축, 간인, 갑묘의 여섯 방위를 금국이라 하고, 동쪽과 남쪽 사이에 을진, 손사, 병오의 여섯 방위를 수국으로 하여 목·화·금·수의 4국으로 나누어 놓았다. 둘째, 파구는 위에서 열거한 목·화·금·수의 각 국마다 반드시 정미, 신술, 계축, 을진 방위로 물이 빠져나가야 하고 이곳은 12포태법으로 따져봤을 때 묘궁(墓宮:庫葬宮)에 해당되며 이때 왕방(旺方)으로 향(向)을 놓으면 정왕향 혹은 자왕향이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정왕향은 혈을 맺기 위해 뻗어 내려온 용맥, 향(墓의 방향), 파구(破口: 물이 마지막으로 빠져나가는 곳)가 삼합을 이루게 된다.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은 관대궁(冠帶宮), 임관궁(臨官宮)을 거쳐 제왕궁(帝旺宮)에 모여 혈에 생기를 공급하고 묘궁으로 파구 된다. 다시 말해 물이 생궁에서 득수하여 왕궁에서 향과 만나 묘궁으로 파구 되니 생·왕·묘 삼합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정왕향을 두고『地理五訣』에서는 생래회왕(生來會旺)에 옥대전요(玉帶纏腰)라 하여 생방에서 물이 와 왕방에 모여 옥대를 허리에 두른 것과 같이 둥글게 흘러나가니 대부대귀(大富大貴), 충효현량(忠孝賢良)에 남총여수(男聰女秀)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자왕향은 정국으로 보면 파구는 묘궁이 되고 득수는 임관궁이 되며 향은 사궁(死宮)이 된다. 임관궁에서 득수한 물은 제왕궁, 쇠궁(衰宮), 병궁(病宮)을 거쳐 사궁에 모여 혈에 생기를 공급하고 묘궁으로 파구 된다.    그러나 88향법에서는 이러한 경우 ‘사처봉왕(死處逢旺)’이라 하여 타국(他局)의 고장(庫葬)궁을 빌려 왕(旺)향을 봉(逢)하라 하였으니 향상으로 작국하여 왕향을 취하게 되므로 이를 차고소수(借庫消水) 자왕향이라 한다.    또한 정국으로는 사(死)향이지만 향상으로 작국하여 왕향으로 변향하니 화사위(化死爲) 자왕향이라고도 한다. 본래는 나쁜 향이지만 향상으로 작국을 하니 좋은 향이 되었다.    용진혈적에 자왕향이 합법이면 부귀왕정(富貴旺丁)하고, 조빈석부(朝貧夕富)라 하여 아침에 가난했던 자가 저녁에 부자가 된다 할 정도로 아주 빠른 발복을 예약하는 길향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