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전 국민에게 15∼50만원씩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실제 소비 진작 효과가 얼마나 일어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코로나19 재난지원금 관련 연구 결과에서는 신규 소비 창출 효과가 대체로 20∼40%로 분석됐다. 정부도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투입한 돈의 20∼40%가 새로운 소비로 창출되고 나머지는 기존 소비를 대체하거나 저축됐다는 것이다.한국개발연구원(KDI) 김미루 연구위원 등이 2020년 5월 코로나19 1차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 지원금 사용 가능 업종에서 전체 투입 예산 대비 26.2∼36.1%의 매출 증대 효과가 나타났다. 당시 정부는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을 가구당 40만∼100만원을 지급했다.효과는 업종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대면 접촉이 필요치 않은 (준)내구재, 필수재에서 효과가 컸으나 대면 서비스업과 음식업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았다.이우진 고려대·강창희 중앙대·우석진 명지대 교수의 논문에서는 코로나19 긴급지원금의 한계소비성향이 2020년 2분기 0.362~0.421, 3분기 0.401~0.481로 나타났다. 2020년 2∼3분기를 합산하면 0.654~0.782 정도로 추정됐다. 정부가 2020년 2∼3분기 지급한 긴급지원금 총액 약 21조7000억 가운데 14조2000억∼17조원가량이 소비 지출에 사용됐다는 의미다.전미경제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2020년 미국의 재난지원금은 25∼40%가 소비 효과로 이어졌다. 팬데믹 때와 달리 지금은 대면 소비가 원활하고 내수가 장기간 침체했던 까닭에 소비 효과가 더 클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전문가들은 22일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40%가량의 소비 성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4인 가구가 100만원을 받는다면 40만원이 추가 소비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석진 교수는 "지금처럼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는 소비 성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40∼50% 정도의 한계소비성향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미루 연구위원은 "업종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거시적으로 지원금과 관련한 연구에서 20∼40%의 소비 효과가 창출된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