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준 LG전자 부회장은 "객관적으로 보면 LG전자에는 약간 무른 분위기가 있다"며 "이 같은 조직문화를 독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 부회장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벨라지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전자가 예전에는 정말 독하고 강하게 했는데, 지금은 그 부분이 많이 무너진 듯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구 부회장이 지난해 10월1일 LG전자의 수장에 오른 이후 공식석상에 나타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구 부회장은 작심이나 한 듯 예의 '강한' LG전자에 대한 열망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우선 남용 전 부회장 시절 마케팅에 큰 비중을 뒀던 것에 대한 비판으로 구 부회장은 입을 열었다. 구 부회장은 "기본적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은 연구개발(R&D), 생산, 품질에서 나온다"며 "전 최고경영자(CEO)가 마케팅회사를 지향했는데, 그동안 사업장을 열심히 돌아본 결과 기본이 많이 무너진 것 같았다. 저는 R&D, 생산, 품질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 전 부회장 시절 대거 영입됐던 'C(chief) 레벨' 외국인에 대해서는 "원래 한시적으로 배우자고 해서 3년 계약으로 한 것이었는데, 지난해 말 대부분 계약이 끝났다"며 "당분간 외부영입은 없다. LG전자의 사업은 기존 임직원들이 가장 잘 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전사적인 위기의 몸통으로 지목되고 있는 스마트폰 역량에 대해서는 독설을 내뱉었다. 그는 "휴대폰은 기업용(B2B) 사업이다. 사업자들이 이미 경쟁사의 제품들로 시작을 했기 때문에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올 한 해는 고생해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향후 비전에 대해서는 슬로건으로 밝혔던 '패스트(fast), 스트롱(strong), 스마트(smart)'를 강조했다. "제조업은 강한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 슬로건 없이는 안 된다. 직원에게 메시지를 줄 때는 이것이다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어 "CEO가 새로 왔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회사가 달라지지는 않는다"며 "열심히 하겠지만 일으켜 세우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하이닉스반도체 인수건에 대해서는 "지금 상황에선 시너지도 없고, 전혀 관심도 없다"며 "고려치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