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기업 10곳 중 7곳이 대구공항 국제노선 확대가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출장 애로사항으로는 ‘언어·문화 장벽’이 가장 많았다. 하노이·베이징 직항 신설, 인천공항 KTX 직행노선 재개, 대구~인천 항공편 증편 등에 대한 수요도 높아 항공·교통 인프라 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대구상공회의소는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지역 기업 445개사를 대상으로 ‘해외 비즈니스 출장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이 중 250개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외 출장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문화적 장벽’(42.8%)이었으며, 이어 ‘현지 비즈니스 정보 부족’(35.2%), ‘공항·교통 인프라 부족’(33.6%), ‘안전 불안’(19.6%) 등이 뒤를 이었다.해외출장 환경 개선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대구공항 국제노선 확대’(69.2%)가 가장 많이 꼽혔고 ‘비자·출입국 절차 간소화’(32.0%), ‘인천공항 연계 교통 개선’(27.2%), ‘현지 통역·가이드 지원’(18.8%)이 뒤를 이었다.출장 시 이용 공항은 인천공항(57.6%)이 가장 많았고 대구공항(22.0%), 김해공항(16.8%) 순이었다. 인천공항까지의 이동 수단으로는 KTX(45.1%)와 리무진버스(43.8%)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김해공항은 자가용(54.8%) 이용률이 더 높았다.현재 하루 한 편씩 운항 중인 대구~인천 항공노선에 대해서는 “증편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4%, 인천공항 KTX 직행 노선 재개에 대해서는 무려 91.6%가 찬성 의견을 밝혔다.대구공항에 신설되길 바라는 노선은 하노이와 베이징이 각각 35.6%로 공동 1위, 이어 호치민(29.2%), 나고야(25.2%), 싱가포르(20.0%)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국제노선 확대’(92.8%), ‘도심-공항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29.6%), ‘주차 공간 확대’(27.2%)가 제시됐다.또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립 시 개설되길 바라는 장거리 직항노선으로는 LA(50.4%), 뉴욕(35.2%), 프랑크푸르트(23.6%), 파리(23.2%) 등이 꼽혔으며 신공항에서 화물 운송 의향이 있다는 기업도 73.2%에 달했다.해외 출장 지역은 중국(44.0%), 미국(30.8%), 일본(28.8%), 베트남(26.8%), 독일(12.0%) 순으로 많았고 출장 목적은 ‘전시회·박람회 참가’(52.4%), ‘바이어 상담·계약’(48.4%)이 주를 이뤘다.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기업의 원활한 통상 활동 지원을 위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국제노선 신설과 대구-인천간 항공편 증편, KTX 인천공항 직행 노선 재개 등을 건의하고 바이어 발굴, 전시회 정보 등 다양한 비즈니스 정보 제공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