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라문화원(원장 진병길)이 주관한 ‘2025년 전반기 경주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이 26일 수료식을 끝으로 종료됐다.
이어지는 하반기 교육은 신라사, 사찰미학, 근대 고고학사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적으로 구성해 해설사의 전문성과 현장 해설 품격을 실질적으로 높이는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전반기 교육은 신라 불교사·고고학 발굴사·석조문화유산 등 경주 문화유산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돼 불국사박물관·동국대·영남대·위덕대 등 국내 학술기관 전문가들이 강사로 참여해 이론과 현장을 아우르는 강의를 진행됐다.
 
이번 과정은 조기 마감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모았고 총 120명의 수강생이 참여했다. 특히 이 교육은 2022년 시작 이후 지금까지 82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지역 해설사 인력 양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이 교육은 국가유산청의 ‘향교·서원 활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현재는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진병길 원장은 “이번 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경주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전문성과 애정을 갖춘 해설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며 “하반기에도 내실 있는 교육 운영을 통해 해설사의 품격을 높이겠다”고 밝혔다.한편 오는 8월 21일 개강하는 하반기 교육은 총 16주간 진행되며 문화유산 관련 각 분야 전문가들이 심화 주제로 강의에 나선다.
조훈철 전 동국대 박물관 선임연구원이 ‘역사유적의 가치와 기억’을 주제로 첫 강의를 맡아 경주 역사유적지구와 조선왕릉, 수원화성에 이르는 유산 계보를 조망하고 이현태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신라사의 전개와 변동’을 통해 왕경과 화랑, 의례 등 신라사의 핵심 구조를 분석한다.김동하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은 ‘신라 왕경 사찰의 공간과 신앙’을 주제로 경주의 사찰미학을 조명하며 정인성 영남대 교수는 ‘발굴이 열어준 신라 고분사’를 통해 신라 고분 발굴의 역사적 맥락과 국제적 시선을 풀어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