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가 주최하고 수성문화재단이 주관하는 ‘2026 수성국제비엔날레 프리비엔날레’가 오는 9일 국제 포럼 형식으로 열린다. 이는 본 비엔날레를 앞둔 사전 행사로 도시 공간과 예술, 공공의 미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번 포럼에서는 공공 건축·조경 프로젝트의 주제를 공식 발표한다. 행사에 앞서 참여 작가들은 수성구 내 주요 대상지를 직접 답사하고 내년 본 비엔날레에서 추진될 실현 가능성 높은 프로젝트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2026 수성국제비엔날레’는 공공 공간에 실제 건축물과 조경을 설계·구현하는 프로젝트형 비엔날레로 ‘짓는 비엔날레’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 이종국 계명대 명예교수가, 공동 예술감독에는 존 홍 서울대 교수와 김아연 서울시립대 교수가 조직위원장에 위촉됐다. 이들은 ‘리빙 그라운드’를 주제로 비엔날레를 준비하고 있다.또 건축공간연구원, 서울시와의 협약을 통해 전국 단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팀들이 주요 프로젝트에 참여해 전문성과 실현력을 강화하고 있다. ‘진밭골 목재친화도시’, ‘들안 예술공원’ 등에 일본, 호주, 독일, 중국 등 국내외 10여 개 팀이 참여해 주목된다.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수성국제비엔날레는 예술을 통해 지역 공간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끄는 공공 프로젝트”라며 “프리비엔날레는 그 첫 단추로 수성구가 글로벌 전문가들과 함께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는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국 조직위원장은 “이번 프리비엔날레는 도시와 예술, 건축, 조경이 실제 공간에서 만나는 출발점”이라며 “내년 본 비엔날레에서는 공공 공간 실현 프로젝트뿐 아니라 제1회 수성국제비엔날레 대상작 중 완공된 작품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