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향절류와 태향태류는 하늘의 좋은 기운을 받아 영혼의 안녕과 후손들의 발복을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는 좌향 조정법 중의 하나로 풍수에서 많이 사용하는 88향법이다. 즉, 정해진 자연의 형태는 바꿀 수가 없으나 혈장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을 보고 하늘의 천기(天氣)를 적당히 받을 수 있도록 묘소의 좌향을 유리하게 조정함으로써 혈장의 길(吉)함을 고조시킨다는 것이다. 
 
그런데 절향절류와 태향태류의 향을 놓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따르고 향을 세울 때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첫째, 혈장에서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선룡에 우선수 즉, 용(龍)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틀고 물은 우측에서 얻어 혈장 앞으로 와 향의 정면으로 빠지는 당문파(堂門破)여야 한다. 특히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라 하여 혈장으로부터 걸어서 백보(약 70m)안에 수구가 있어 그곳으로 바로 빠져나가 물이 보이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여기서 패철로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을 측정하는데 둥근 나경 속의 24방위에서는 남쪽과 서쪽 사이의 방위인 정미, 곤신, 경유의 여섯 방위를 목국이라 하고, 서쪽과 북쪽 사이에 신술, 건해, 임자의 여섯 방위를 화국이라 하며, 북쪽과 동쪽 사이에 계축, 간인, 갑묘의 여섯 방위를 금국이라 하고, 동쪽과 남쪽 사이에 을진, 손사, 병오의 여섯 방위를 수국으로 하여 목·화·금·수의 4국으로 나누어 놓았다.
둘째, 절향절류는 위에서 열거한 목·화·금·수의 각 국마다 반드시 우선수로 하여 곤신, 건해, 간인, 손사 방위로 물이 빠져나가야 하고 이곳은 12포태법으로 따져봤을 때 절궁(絶宮)에 해당되며 이때 절방(絶方) 즉, 목국의 곤신파-곤신향, 화국의 건해파-건해향, 금국의 간인파-간인향, 수국의 손사파-손사향(向)을 놓으면 절향절류가 된다는 것이다. 정국의 절향이며 목욕궁에서 득수한 물은 장생궁(長生宮), 태궁(胎宮)을 거쳐 절궁에 모여 혈에 생기를 공급하고 바로 절궁으로 파구 된다.
태향태류는 목·화·금·수의 각 국마다 반드시 우선수로 물을 얻어야 하는 것은 절향절류와 같으나 파구는 달리 경유, 임자, 갑묘, 병오 방위로 물이 빠져나가야 한다. 이곳은 12포태법으로 따져봤을 때 태궁에 해당되며 이때 태방(胎方) 즉, 목국의 경유파-경유향, 화국의 임자파-임자향, 금국의 갑묘파-갑묘향, 수국의 병오파-병오향을 놓으면 태향태류가 된다는 것이다. 
 
정국의 태향이며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은 장생궁, 양궁을 거쳐 태궁에 모여 혈에 생기를 공급하고 태궁으로 파구 된다. 이 둘은 모두 물이 향 앞으로 바로 빠져나가는 당문파이다. 용진혈적에 절향절류와 태향태류가 합법이면 대부대귀(大富大貴)하고 인정흥왕(人丁興旺)하여 발복이 오래가는 길향이다. 
 
그러나 반드시 천간자로 파구 되어야 하고 만약 지지자를 침범하면 패절한다. 그러므로 이를 ‘불가경용(不可輕用)’이라 하여 절대로 가벼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하였으니 많은 경험과 패철의 정확한 측정을 요한다. 패철 한 방위의 각도가 15도이므로 측정 시 조금의 실수만 있어도 천당과 지옥을 넘나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