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1% 상승해 최근 4년간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일부 식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일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비자 물가는 작년 동기보다 2.1% 상승했다. 이는 2021년(2.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물가상승률은 2022년 4.6% → 2023년 3.9% → 2024년 2.8%로 점차 안정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수산물(5.1%)과 축산물(4.3%)을 비롯해 가공식품(3.7%)과 외식(3.1%) 등 서민 식생활과 밀접한 품목들은 평균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 '밥상 물가'는 여전히 불안정하다.다만 농산물은 작년 동기보다 1.6% 떨어졌다. 지난해 과일값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과일 물가가 6.1% 내린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품목별로는 무가 올해 상반기 54.0% 뛰어 전체 품목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보리쌀(42.0%), 오징어채(39.9%), 컴퓨터 수리비(27.9%), 배추(27.0%), 김(25.1%), 찹쌀(23.8%)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배추와 무는 폭우와 기온 등 영향으로 올해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올 초부터 계속해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보리의 경우 지난해 재배면적이 감소했고, 오징어채의 경우 바다 수온이 높아져 오징어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출고가 인상이 이어진 가공식품 초콜릿(17.0%), 시리얼(9.9%), 커피(8.8%) 등의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일부 식품 가격 인상을 내수 부진에 따른 낮은 수요 압력과 유가 하락 등 하방 요인이 상쇄되면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국민이 즐겨 먹는 고등어와 조기, 오징어 등 수산물 가격도 고수온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올라 밥상 물가에 비상등이 켜졌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고등어(국산 염장) 한 손의 소매가격은 전날 기준 6800원으로 평년 대비 71.6% 높고 작년보다 36.0% 비싸다. 물오징어(원양 냉동) 가격은 한 마리에 4974원으로 평년보다 27.2%, 작년보다는 28.6% 각각 높다. 참조기(냉동)도 한 마리에 2017원으로 평년과 전년 대비 각각 30.0%, 21.0% 비싸다.대표적인 횟감 어종인 광어와 우럭도 작년 기록적인 폭염 때문에 폐사량이 급증해 올해 공급이 줄면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5월 인천 기준 광어(900g∼1㎏)의 도매가격은 ㎏당 1만9500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3% 높다. 해수부 관계자는 "고등어는 할당관세 적용으로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연안 수온은 작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국내 양식장 폐사를 줄이기 위해 비상 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예방 체계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