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좋은 기운을 받기 위해 좌향을 조정하는 88향법은 현장에서 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 576향이나 된다. 패철의 동그라미 원안에는 방위가 모두 24방위로 나뉘어져 있어 물이 마지막으로 빠져나가는 방위에 따라 세울 수 있는 향은 (24×24)=576향이 되지만 이 중에서 88향만 길하고 488향은 흉하다고 하였다.    그 흉한 향 중에서도 특히 살인대황천(殺人大黃泉) 4개와 충록소황천(沖祿小黃泉) 4개를 합쳐 8대 황천이라 부르고 아주 흉한 향으로 취급하고 있다.    만약 이를 범하게 되면 모든 자손들이 상하고 재물까지 망한다고 하였으니 좌향 조정 시 특별히 주의를 요하는 향이다. 아무리 좋은 혈을 찾았다 하더라도 풍수는 주변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향(向)을 놓아야 자연의 이로운 기운들을 제대로 받을 수가 있다. 풍수에서는 취길피흉(取吉避凶)이라 하여 좋은 향을 잘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쁜 흉향을 잘 피하는 것도 그 이상 중요하다. 88향법에서는 둥근 나경 속의 24방위를 6방위씩 묶어 크게 4국으로 구분하고 남쪽과 서쪽 사이의 방위인 정미, 곤신, 경유의 여섯 방위를 목국, 서쪽과 북쪽 사이에 신술, 건해, 임자의 여섯 방위를 화국, 북쪽과 동쪽 사이에 계축, 간인, 갑묘의 여섯 방위를 금국, 동쪽과 남쪽 사이에 을진, 손사, 병오의 여섯 방위를 수국으로 하여 목·화·금·수의 4국으로 나누어 놓았다.    여기서 각 국마다 살인대황천과 충록소황천이 하나씩 있으니 8개 향이 되고 이를 8대 황천이라 하여 좌향 조정 시 반드시 피해야 하는 향이다. 이것은 모두 혈장에서 보아 우측에서 들어오는 물 즉 우선수에서 생길 수 있는 향이다. 살인대황천은 목국(남서쪽)에서는 곤신파에 경유향, 화국(서북쪽)에서는 건해파에 임자향, 금국(북동쪽)에서는 간인파에 갑묘향, 수국(동남쪽)에서는 손사파에 병오향인 경우다. 이것은 12 포태법으로 보아 물이 향상으로 임관궁(臨官宮)을 치고 나가며 본국으로는 절(絶)방인 녹(祿)궁까지 치는 격이다. 이러하니 자손이 성장하여 벼슬(官)길에 들어섰는데 물이 관궁(官宮)을 치고 나감으로써 다 큰 자식이 죽임을 당하는 꼴이다.    그리고 본국의 재록(財祿)을 관장하는 복(福)궁까지 치니 명예와 재물 모두를 잃는다. 재앙이 나타나면 먼저 둘째 자손이 패절하고 차차 다른 자손으로 옮겨 가는데 결국 모든 자손이 다 망하는 무서운 살(殺)이다. 충록소황천은 목국(남서쪽)에서는 경유파에 신술향, 화국(서북쪽)에서는 임자파에 계축향, 금국(북동쪽)에서는 갑묘파에 을진향, 수국(동남쪽)에서는 병오파에 정미향인 경우다. 이것은 12 포태법으로 보아 물이 본국의 태(胎)방으로 흘러나가 녹(祿)궁을 치니 자손들은 빈한(貧寒)하고 특히 향상으로는 고장(庫葬: 墓)궁으로 향을 놓으니 창고가 금세 허물어져 재산이 빨리 줄어든다.    그리고 수명(壽命)을 관장하는 사(死)궁으로 물이 흘러나가므로 자손들이 요절(夭折)하여 집안에 과부들이 줄줄이 나오고 간혹 장수하는 자손들도 있지만 결국 쇠퇴하여 대가 끊기고 만다는 흉한 향이므로 반드시 피해야 한다. 이들이 바로 88향법에서 제일 무서운 살(殺) 들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