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하 DIMF)이 6월 20일부터 7월 7일까지 18일간의 축제를 마치고 성황리에 폐막했다.   올해 DIMF는 헝가리, 프랑스,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 6개국에서 초청된 29편의 작품이 대구 전역에서 펼쳐졌으며 총 52,664석 규모의 공연 좌석 중 총 33,867명의 관객이 참여해 64.31%의 객석 점유율을 기록했다.공식초청작 중 개막작으로 무대에 오른 헝가리 작품 '테슬라'는 천재 과학자 니콜라 테슬라의 파란만장한 삶과 업적을 중심으로 한 탄탄한 서사 구조,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동유럽 특유의 음악과 고난도의 안무, 덤블링을 포함한 역동적인 무대 연출이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폐막작 중국 뮤지컬 '판다'는 가족 단위 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전 연령층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따뜻하고 감성적인 이야기로 마무리를 장식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큰 사랑을 받은 푸바오 캐릭터가 깜짝 등장해 관객들에게 반가움과 웃음을 안겼고 공연 외에도 포토타임과 관객과 만나는 이벤트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됐다.     프랑스 '콩트르-탕'은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지휘자의 삶을 감각적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클래식, 재즈, 뮤지컬, 드라마가 결합된 구성으로 단 두 명이 출연해 감정선을 섬세하게 담아낸 연출로 뮤지컬 전문가와 관객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대만 '몰리의 매직 어드벤처'는 가족극으로 블랙홀에 빠진 소녀가 기억을 찾아가는 여정을 마법과 환상의 세계로 풀어냈다. 대사보다 몸짓으로 표현되는 비언어적 소통과 서커스를 접목한 극으로 전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서사와 환상적인 시각효과가 어우러져 호응을 얻었다.DIMF 자체제작 뮤지컬 '애프터 라이프'는 삶과 죽음을 철학적으로 다루며 “조용하지만 깊이 있는 흐름”, “삶을 이야기하는 무대”라는 관람평 속에 DIMF 대표 레퍼토리로서의 저력을 입증했다. 올해는 일본·중국·말레이시아 등 해외 관계자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전년도 3관왕을 차지한 '시지프스'는 올해 공식초청작으로 한층 높은 완성도로 재등장했으며 '설공찬', '미생' 등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구현했다.창작지원작 5편은 작품성과 실험성으로 주목받았다. ▲창작뮤지컬상 수상작 '셰익스피스'는 여성 서사와 사회적 메시지의 조화를 ▲'시디스'는 LED와 영상미를 활용한 시각적 몰입감을 ▲'갱디', '히든러브', '요술이불'은 각각 대중성과 감성, 가족친화성으로 호평을 얻었다.지역 연계공연으로는 수성구 '뚜비와 달빛기사단', 남구 '내사랑 옥순씨', 경주 '천년의 불꽃, 김유신' 등이 무대에 올라 지역문화와 축제를 연결했다.DIMF 대학생뮤지컬페스티벌에서는 단국대학교가 대상을 수상했으며 한국과 태국 8개 대학이 참가한 본선 경연은 신진 인재들의 높은 수준을 보여줬다.또 총 175명의 자원활동가 '딤프지기'는 다양한 연령·국적의 참가자가 활약하며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DIMF 위상을 높였고 '만원의 행복', '하이터치회', '딤프린지', 영화 상영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축제에 생기를 더했다.특히 올해 DIMF는 아시아를 넘어 헝가리,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초청된 작품들을 통해 다채로운 문화권의 창작뮤지컬을 소개했다. 그 중에서도 대만, 헝가리, 태국 등 제3세계 및 비주류 국가 작품의 국내 진출, 한국 창작뮤지컬의 글로벌 확산에 기여하며 세계 창작 생태계 허브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배성혁 DIMF 집행위원장은 "개막식&축하공연이 기상 악화로 인해 취소돼 아쉬움이 컸지만 결과적으로는 DIMF 본연의 힘인 작품성과 관객의 호응이 더욱 부각될 수 있었다"며 "관객과의 신뢰가 쌓여야 가능한 18일간의 축제였고 우리만의 브랜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창작과 신진 발굴이라는 DIMF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축제를 넘어 산업적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고민과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DIMF는 2026년 20주년을 앞두고 있으며 글로벌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기반으로 더욱 풍성한 콘텐츠와 비전으로 새로운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