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로 인한 개인정보 노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SNS 이용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SNS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의 종류는 이름, 주소 등 기존의 신상정보 이외에 개인의 행태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17일 방통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조사한 트위터 사용자 200명의 ID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인정보의 수집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KISA는 지난 10일부터 4일간 트위터 ID 200개를 대상으로 이름, 위치정보, 구체적인 인맥 정보 등 개인을 파악할 수 있는 34개 항목을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 가능한지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이름(88%), 인맥정보(86%), 사진 등 외모정보(84%), 위치정보(83%), 관심분야 등 취미정보(64%), 스케줄 정보(63%), 가족 정보(52%) 등을 조사대상 중 절반 이상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의료정보(29%), 정치성향 정보(19%) 등 민감 정보로 분류되는 정보도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ID만 가지고 이름과 외모, 위치, 스케줄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경우는 79%로 나타났으며 위치, 취미, 스케줄, 소비성향 등 개인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무려 65%에 달했다.
심지어 조사 대상 중 트위터 외에 페이스북, 구글버즈, 미투데이, 블로그 등 다수의 SNS를 연동해 사용하는 ID의 경우, 계좌 정보와 계좌 잔액, 신용카드 사용처 등 개인의 금융 관련 정보도 게시하고 있었다.
또 다른 ID는 하루의 모든 행적을 트위터에 상세하게 알려 일과정보와 이동정보를 상세하게 알려주고 연관 사진까지 게시했다.
아울러 위치정보를 공개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다양한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위치를 게시해 해당 위치의 정확한 주소가 함께 공유되거나 지도상 위도와 경도 등의 좌표까지 표시되는 경우도 발견됐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SNS 사업자·이용자 개인정보보호 수칙'을 마련해 SNS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보호수칙은 개인정보보호 포털사이트(www.i-privacy.kr)와 각종 SNS 사이트를 통해 보급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소셜미디어의 핵심으로 SNS가 급속히 확산되는 상황에서 SNS 사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과도한 사생활 노출 등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수칙을 배포했다"며 "SNS 이용에 신중을 기할 것을 다시 한 번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