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 농축산물 개방이다. 정부는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어떤 결실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불안한 것은 여당의 현실 인식이다. 여당의 엇박자는 협상에 도움이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당 대표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박찬대 후보는 지난 27일 TV토론에서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은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트럼프 정부가 예민하게 다뤄 온 이슈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감을 표출한 셈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농업을 통상 협상의 희생양으로 만들려고 하는 작금의 상황에 깊은 유감”이라는 성명을 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관세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국익”이라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고 “미국과의 협의에 총력전으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떤 선택이 국익을 위한 길인지 냉정한 손익 계산이 필요한 시점에 정부의 협상 전략을 지원해야 할 여당이 마치 야당처럼 행동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어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로 예고했던 EU에 대한 상호관세를 15%로 낮췄다. 일본과 같은 수준이다. 미국 정부는 28~29일 중국과 협상을 벌인다.    주요 국가 중 한국이 가장 막판까지 몰렸다. 그 선택의 불가피성을 국민과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고, 관련 대책을 고민하는 것이 정부와 여당의 책임이다. 일본과 합의할 땐 “일본이 내 지시에 따라 미국에 약 760조 원 규모인 5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공개했다. 경제 규모의 차이를 고려해도 우리나라가 제시한 투자 규모 1000억 달러와는 5배가 많아 간 극이 크다. 우리 정부로서는 이런 압박을 이겨내고 며칠 남지 않은 협상 시한 내에 일본·EU 수준(15%) 이하로 타결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이런 행태는 이번 협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고는 있는지 의문을 낳게 한다.    미국이 지난 4월부터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 승용차의 올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8%나 줄었다. 이 대통령의 관세 협상 원칙은 국익인데도 여당의 행동은 다른데 문제가 있다. 관세 협상에 실패하면 농축산물뿐만 아니라 자동차산업에도 직격탄을 맞게 된다. 협상 후 닥칠 혼란 극복을 위해서도 정부와 여당은 지금보다 더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우려스러운 것은 현대차·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토요타·벤츠보다 비싼 값으로 경쟁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출 타격은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